31.07.2013 View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0232]<br />

[0233]<br />

[0234]<br />

[0235]<br />

[0236]<br />

경내막 미세혈관은 보체 활성화의 징후를 보인다. 당뇨에 있어서 보체 억제제의 감소된 활용성 또는 효과는<br />

시험관 내 고 글루코스에 의하여 내피 세포 표면상에서 글리코실포스파티딜리노시톨 (GPI)-앵커드 막 단백질<br />

이며, CD59가 이들의 보체-억제 기능을 저지하는 비효소적 당화를 겪는 두 억제제, CD55 및 CD59의 발현이 선<br />

택적으로 감소된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Zhang et al. (Diabetes 57:3499-3504, 2002)에 의한 연구들은 인간<br />

비증식 당뇨성 망막병증의 양태로서의 보체 활성화 및 억제 분자 내의 변화와 관계된 것을 조사하였다. 보체<br />

활성화의 최종 산물인 C5b-9의 침착은 타입-2 당뇨가 있는 인간 눈 공여체의 망막 혈관벽에서 발생하나, 연령<br />

-매치 비당뇨 공여체의 혈관에서는 발생하지는 않는다. 고전적 경로에 유일한 보체 성분인 C1q 및 C4는 당뇨<br />

성 망막 내에서는 검출되지 않으며, 이는 C5b-9가 대체 경로에 의하여 생성되었음을 나타낸다. 당뇨 공여체는<br />

CD55 및 CD59의 망막 수준에서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며, 이 두 보체 억제제는 GPI 앵커에 의하여 혈장 막에<br />

결합된다. 유사한 망막 혈관 내의 보체 활성화 및 망막 CD55 및 CD59의 수준의 선택적 감소가 스트렙토조톡신<br />

-유도성 당뇨의 10주 경과 래트에서 관찰되었다. 따라서, 당뇨는 당뇨성 망막 미세혈관병증의 다른 징후가 선<br />

행하는 보체 억제제 및 보체 활성화의 조절 결함이 원인인 것 같다.<br />

문헌 Gerl et al. (Investigative Ophthalmology and Visual Science 43:1104-08, 2000)는 당뇨성 망막병증에<br />

의하여영향받은 눈 내의 활성화된 보체 성분의 존재를 결정하였다. 면역조직화학 연구들은 모든 50개의 당뇨<br />

성 망막병증 표본 내의 바닥복합층에 즉시 쌓이고 모세혈관을 두텁게 둘러싼 맥락막모세혈관층에서 검출되는<br />

보체 C5b-9 복합체의 광범위한 침착을 발견하였다. C3d의 염색은 C5b-9 염색과 양성 상관관계를 지니며, 이는<br />

보체 활성화가 그 자리에서 일어났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양성 염색은 세포외 C5b-9와 안정적인<br />

복합체를 형성하는 비트로넥틴에서 발견된다. 이에 반하여, C-반응성 단백질 (CRP), 만난-결합 렉틴 (MBL),<br />

C1q, 또는 C4의 양성 염색은 없으며, 이는 보체 활성화가 C4-의존성 경로를 통하여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br />

나타낸다. 따라서, C3d, C5b-9, 및 비트로넥틴의 존재는 보체 활성화가, 가능하다면 당뇨성 망막병증에 의하<br />

여 영향을 받는 눈의 맥락막모세혈관층 내의 대체 경로를 통하여 달성된다는 것을 적시한다.<br />

보체 활성화는 안구 조직 질환 및 시력 손상에 기여할 수 있는 병리학적 후유증의 원인 요인이 될 수 있다.<br />

따라서, 보체 억제제의 사용은 당뇨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세 혈관 손상을 감소 또는 치단하는 효과적인 요법<br />

이 될 수 있다.<br />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IDDM, 타입-I 당뇨)은 다른 유형의 자가항체의 존재에 관련된 자가면역 질환이다<br />

(Nicoloff et al., Clin. Dev. Immunol. 11:61-66, 2004). 순환 내의 이러한 항체 및 대응 항원의 존재는 순<br />

환 면역 복합체 (CIC)의 형성을 유도하며, 이는 장기간 혈액 내에 잔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혈관 내의<br />

CIC의 침착은 임상적 결과를 약화시키는 미세혈관병증을 유도하는 능력이 있다. 당뇨병 소아 내의 CIC 및 미<br />

세혈관 합병증의 발달 사이에 상광관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발견은 증가된 수준의 CIC IgG가 당뇨성 신장병의<br />

초기 발달과 관련이 있으며 보체 경로의 억제제가 차단 당뇨성 신장병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나타낸다<br />

(Kotnik, et al., Croat. Med. J. 44:707-11, 2003). 이와 함께, 하방 보체 단백질의 형성 및 대체 경로의 관<br />

여가 IDDM 내의 전체 섬 세포 기능의 기여 요인이 되는 것 같으며, 잠재적인 손상 또는 제한 세포 사멸을 감<br />

소시키기 위한 보체 억제제의 사용이 기대된다 (Caraher, et al., J. Endocrinol. 162:143-53, <strong>19</strong>99).<br />

순환 MBL 농도는 건강한 대조군에 비하여 타입 1 당뇨 환자 내에서 현저히 증가하며, 이러한 MBL 농도는 소변<br />

알부민 배출과 양성 상관관계를 가진다 (Hansen et al., J. Clin. Endocrinol. Metab. 88:4857-61, 2003). 최<br />

근 임상적 연구는 고도- 및 저도-발현 MBL 유전형의 빈도가 타입 1 당뇨 환자와 건강한 대조군간에 유사하다<br />

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Hansen et al., Diabates 53:1570-76, 2004). 그러나, 당뇨 환자 중에서 신장병에 걸<br />

릴 위험은 이들이 고 MBL 유전형을 보유한 경우 현저하게 증가된다. 이는 고 MBL 수준 및 렉틴 경로 보체 활<br />

성화가 당뇨성 신장병의 발달에 기여할 수 있다고 적시한다. 이 결론은 최근 전망있는 연구에 의하여 지지되<br />

며, 여기서 새롭게 진단된 타입 1 당뇨성 환자의 코호트 연구에서 MBL 수준 및 알부민뇨간의 관계가 조사되었<br />

다 (Hovind et al., Diabetes 54:1523-21, 2005). 이들은 타입 1 당뇨의 초기 단계에서 높은 수준의 MBL는 후<br />

의 지속적인 알부민뇨의 발달과 현저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MBL 및 렉틴 경로가<br />

존재하는 변화를 단순히 가속화하는 것 보다는 당뇨성 혈관 합병증의 특이적 발병기전에 관여한다는 것을 나<br />

타낸다. 최근 임상적 연구 (Hansen et al., Arch. Intern. Med. 166:2007-13, 2006)에서는, MBL 수준이 15년<br />

간 추적 관찰한 타입 2 당뇨 환자의 양호하게-특성화된 코호트 연구 내에서 기저에서 측정되었다. 이들은 공<br />

지의 교란요인의 조정 후, 저 MBL 수준의 환자들 (1000㎍/L)간에<br />

서 사망 위험이 현저하게 높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br />

공개특허 10-20<strong>12</strong>-0099680<br />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방법은 약학적 담체 중에 MASP-2 억제제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포함하는 조성물<br />

을 투여함으로써 비비만 당뇨 (IDDM) 또는 IDDM 또는 성인형 (타입-2) 당뇨의 혈관병증, 신경병증 또는 망막<br />

- 37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