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8.2013 View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0689]<br />

[0690]<br />

[0691]<br />

[0692]<br />

[0693]<br />

[0694]<br />

[0695]<br />

[0696]<br />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항-IL-6 항체, 또는 이들의 단편 또는 변이체는 사이토킨<br />

폭풍(cytokine storm)과 연관된 질환과 이상의 증상을 개선하거나 감소시키는데, 또는 이들 질환과 이상을 치료<br />

하거나 예방하는데 유용하다. 사이토킨 폭풍과 연관된 질환과 이상에는 이식편 대(對) 숙주 질환(GVHD), 조류<br />

인플루엔자, 천연두, 대유행 인플루엔자, 성인 호흡 곤란 증후군(ARDS),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 패혈<br />

증, 그리고 전신성 염증 반응 증후군(SIRS)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참조: Cecil, R. L.,<br />

Goldman, L., & Bennett, J. C. (2000). Cecil textbook of medicine. Philadelphia: W.B. Saunders; Ferrara<br />

JL, et al.,Cytokine storm of graft-versus-host disease: a critical effector role for interleukin-1,<br />

Transplant Proc. <strong>19</strong>93 Feb;25(1 Pt 2):<strong>12</strong>16-7; Osterholm MT, Preparing for the Next Pandemic, N Engl J<br />

Med. 2005 May 5;352(18):1839-42; Huang KJ, et al., An interferon-gamma-related cytokine storm in SARS<br />

patients, J Med Virol. 2005 Feb;75(2):185-94; 그리고 Cheung CY, et al., Induction of proinflammatory<br />

cytokines in human macrophages by influenza A (H5N1) viruses: a mechanism for the unusual severity of<br />

human disease? Lancet. 2002 Dec 7;360(9348):1831-7).<br />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항-IL-6 항체, 또는 이들의 단편 또는 변이체는 각성 보<br />

조제(wakefulness aid)로서 유용하다.<br />

투여<br />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항-IL-6 항체, 또는 이들의 IL-6 결합 단편 또는 변이체, 그리<br />

고 이들 항체 단편 또는 변이체의 조합은 수용자 개체 체중의 대략 0.1 내지 20 ㎎/㎏, 예를 들면, 대략 0.4 ㎎<br />

/㎏, 대략 0.8 ㎎/㎏, 대략 1.6 ㎎/㎏, 또는 대략 4 ㎎/㎏의 농도로 개체에 투여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br />

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항-IL-6 항체, 또는 이들의 IL-6 결합 단편 또는 변이체, 그리고 이들 항체 단편<br />

또는 변이체의 조합은 수용자 개체 체중의 대략 0.4 ㎎/㎏의 농도로 개체에 투여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br />

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항-IL-6 항체, 또는 이들의 IL-6 결합 단편 또는 변이체, 그리고 이들 항체 단편<br />

또는 변이체의 조합은 26주 이하마다 1회, 예를 들면, 16주 이하마다 1회, 8주 이하마다 1회, 또는 4주 이하마<br />

다 1회의 빈도로, 수용자 개체에 투여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항-IL-<br />

6 항체, 또는 이들의 IL-6 결합 단편 또는 변이체, 그리고 이들의 조합은 대략 1주의 기간 마다 많아야 1회, 예<br />

를 들면, 대략 2주의 기간 마다 많아야 1회, 예를 들면, 대략 4주의 기간 마다 많아야 1회, 예를 들면, 대략 8<br />

주의 기간 마다 많아야 1회, 예를 들면, 대략 <strong>12</strong>주의 기간 마다 많아야 1회, 예를 들면, 대략 16주의 기간 마다<br />

많아야 1회, 예를 들면, 대략 24주의 기간 마다 많아야 1회의 빈도로, 수용자 개체에 투여된다.<br />

효과량은 수용자 개체 속성, 예를 들면, 연령, 성별, 임신 상태, 체질량 지수, 제지방량, 조성물이 제공되는 조<br />

건(들), 조성물의 물질대사 또는 내성에 영향을 주는 수용자 개체의 다른 건강 조건, 수용자 개체에서 IL-6의<br />

수준, 그리고 조성물에 대한 내성(가령, 상기 조성물에 대한 항체를 발생시키는 환자에서 발생)에 좌우되는 것<br />

으로 이해된다. 당업자는 예로써 본 명세서 및 Goodman, L. S., Gilman, A., Brunton, L. L., Lazo, J. S., &<br />

Parker, K. L. (2006). Goodman &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New York: McGraw-<br />

Hill; Howland, R. D., Mycek, M. J., Harvey, R. A., Champe, P. C., & Mycek, M. J. (2006). Pharmacology.<br />

Lippincott's illustrated reviews.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그리고 Golan, D. E.<br />

(2008). Principles of pharmacology: the pathophysiologic basis of drug therapy. Philadelphia, Pa.,<br />

[etc.]: Lippincott Williams & Wilkins에서 교시에 의해 보도된 일과적인 실험을 통해 투여의 효과량과 빈도<br />

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br />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항-IL-6 항체, 또는 이들의 IL-6 결합 단편 또는 변이체,<br />

그리고 이들 항체 단편 또는 변이체의 조합은 제약학적 제제에 담겨 개체에 투여된다.<br />

"제약학적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하기 적합한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조성물을 지칭한다. 이런 조성물은 특<br />

히, 협측, 피부 표면, 경막외, 흡입, 동맥내, 심장내, 뇌실내, 피내, 근육내, 비내, 안구내, 복막내, 척추관내,<br />

척수강내, 정맥내, 경구, 비경구, 관장제 또는 좌약을 통해 직장, 피하, 피하, 설하, 경피, 그리고 경점막이 포<br />

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 다수의 경로 중에서 한 가지 이상을 통한 투여를 위하여 조제된다. 또한, 투여<br />

는 주사, 분말, 액체, 겔, 점안약, 또는 다른 투여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br />

공개특허 10-2011-01<strong>12</strong>308<br />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항-IL-6 항체, 또는 이들의 IL-6 결합 단편 또는 변이체, 그리<br />

고 이들 항체 단편 또는 변이체의 조합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활성제와 공동으로 투여된다. 이런 활성제에<br />

- 107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