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8.2013 View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도 4에서는 인간 IL-6의 100 ㎍/㎏ s.c. 투약후 1시간 시점에, 상이한 용량에서 정맥내 투여된 항체 Ab1에 대한<br />

알파-2-마크로글로불린(A2M) 용량 반응 곡선을 도시한다.<br />

도 5에서는 항체 Ab1 진행 군 대(對) 대조 군에 대한 생존 데이터를 제공한다.<br />

도 6에서는 항체 Ab1 역행 군 대(對) 대조 군에 대한 추가의 생존 데이터를 제공한다.<br />

도 7에서는 3일마다 10 ㎎/㎏ i.v.에서 다중클론 인간 IgG(270-320 ㎎ 종양 크기) 대(對) 3일마다 10 ㎎/㎏<br />

i.v.에서 항체 Ab1(270-320 ㎎ 종양 크기)에 대한 생존 데이터를 제공한다.<br />

도 8에서는 3일마다 10 ㎎/㎏ i.v.에서 다중클론 인간 IgG(400-527 ㎎ 종양 크기) 대(對) 3일마다 10 ㎎/㎏<br />

i.v.에서 항체 Ab1(400-527 ㎎ 종양 크기)에 대한 생존 데이터를 제공한다.<br />

도 9에서는 필리핀 원숭이에서 항체 Ab1의 약동학적 프로필을 제공한다. 항체 Ab1의 혈장 수준은 항원 포획<br />

ELISA를 통해 정량되었다. 상기 단백질은 다른 전장 인간화된 항체와 일치하는 <strong>12</strong>일 내지 17일의 반감기를 보인<br />

다.<br />

도 10(A-D)에서는 각각, 항체 Ab4, Ab3, Ab8과 Ab2에 대한 결합 데이터를 제공한다. 도 10E에서는 항체 Ab1,<br />

Ab6과 Ab7에 대한 결합 데이터를 제공한다.<br />

도 11에서는 표 형태로, 도 10(A-E)의 결합 데이터를 요약한다.<br />

도 <strong>12</strong>에서는 실시예 14의 펩티드 맵핑 실험에 이용된 15개 아미노산 펩티드의 서열을 제공한다.<br />

도 13에서는 실시예 14에서 준비된 블롯(blot)의 결과를 제공한다.<br />

도 14에서는 실시예 14에서 준비된 블롯의 결과를 제공한다.<br />

도 15A에서는 다양한 종의 IL-6에 대한 Ab1의 친화성과 결합 동역학을 도시한다.<br />

도 15B에서는 T1165 세포 증식 분석에서 Ab1에 의한 IL-6의 저해를 증명한다.<br />

도 16에서는 여러 용량 군에서 건강한 수컷 개체에 Ab1의 단일 투여에 기인하는 Ab1의 평균 혈장 농도를 도시한<br />

다.<br />

도 17에서는 도 16에 도시된 용량 군에 대한 혈장 Ab1 농도 시간 곡선 아래 평균 면적(AUC)을 도시한다.<br />

도 18에서는 도 16에서 도시된 용량 군에 대한 평균 피크 혈장 Ab1 농도(Cmax)를 도시한다.<br />

도 <strong>19</strong>에서는 도 16에 도시된 용량 군의 Ab1 약동학적 치수를 요약한다.<br />

도 20에서는 진행된 암 환자에 Ab1의 단일 투여에 기인하는 Ab1의 평균 혈장 농도를 도시한다.<br />

도 21에서는 다른 항-IL-6 항체와 비교하여 Ab1의 선례가 없는 소실 반감기를 도시한다.<br />

도 22에서는 진행된 암 환자에 Ab1의 투여 이후에, 증가된 헤모글로빈 농도를 도시한다.<br />

도 23에서는 진행된 암 환자에 Ab1의 투여 이후에, 평균 혈장 지질 농도를 도시한다.<br />

도 24에서는 진행된 암 환자에 Ab1의 투여 이후에, 평균 호중구 숫자를 도시한다.<br />

도 25에서는 건강한 개체에서 혈청 CRP 수준의 억제를 증명한다.<br />

도 26(A-B)에서는 진행된 암 환자에서 혈청 CRP 수준의 억제를 증명한다.<br />

도 27에서는 생쥐 암 악액질 모형에서 Ab1에 의한 체중 감소의 예방을 증명한다.<br />

도 28에서는 암 악액질 모형에서 대표적인 Ab1-치료된 생쥐와 대조 생쥐의 신체 외관을 도시한다.<br />

도 29에서는 Ab1이 진행된 암 환자에서 체중 증가를 촉진한다는 것을 증명한다.<br />

도 30에서는 Ab1이 진행된 암 환자에서 피로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증명한다.<br />

도 31에서는 Ab1이 진행된 암 환자에서 손 악력을 증진한다는 것을 증명한다.<br />

도 32에서는 Ab1이 생쥐에서 급성기 단백질(혈청 아밀로이드 A)을 억제한다는 것을 증명한다.<br />

도 33에서는 Ab1이 진행된 암 환자에서 혈장 알부민 농도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증명한다.<br />

- 111 -<br />

공개특허 10-2011-01<strong>12</strong>308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