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8.2013 View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0893]<br />

[0894]<br />

[0895]<br />

[0896]<br />

[0897]<br />

[0898]<br />

[0899]<br />

[0900]<br />

[0901]<br />

[0902]<br />

[0903]<br />

크기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Id). 더 나아가, 이들 저자는 "CRP-양성 군에서 전반적인 생존과<br />

재발-없는 생존율이 CRP-음성 군에서 생존율과 비교하여 훨씬 낮다."라는 것을 확인하였다(Id). 이들 저자는 환<br />

자의 수술전 CRP 수준이 독립적이고 간세포 암종을 앓는 환자에서 불량한 예후와 조기 재발의 유의한 예측 지시<br />

자라고 결론하였다.<br />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유사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가령, Karakiewicz 등은 혈청 CRP가 독립적이고 신장 세<br />

포 암종-특이적 사망의 유익한 예측자라는 것을 확인하였다(Karakiewicz, P.I., et al., Cancer, 110(6):<strong>12</strong>41-<br />

<strong>12</strong>47 (2007)). 따라서 암 환자, 특히 진행된 암을 앓는 환자에서 혈청 C-반응성 단백질(CRP) 농도를 감소시키는<br />

방법 및/또는 치료제가 당분야에서 여전히 요구된다.<br />

방법<br />

다양한 형태의 진행된 암을 앓는 8명의 환자(결장직장암(3), NSCLC(1), 담관암(1), 그리고 중피종(2))는 80 ㎎<br />

(2명의 환자), 160 ㎎(3명의 환자) 또는 320 ㎎(3명의 환자)의 Ab1 단일클론 항체의 단일 1-시간 정맥내 주사가<br />

투약되었다. Ab1 단일클론 항체의 다른 용량은 상기 검사 집단에 투여되지 않았다.<br />

환자는 투약 이전에, 그리고 투약후 적어도 8주 동안 주1회 평가되었다. 각 평가 시점에서, 환자는 혈청 CRP 농<br />

도에 대하여 스크리닝되었다. CRP 농도는 라텍스-부착된 항-CRP 항체(즉, Roche CRP Tinaquant<br />

)를 이용한 C-반응성 단백질 입자-증대된 면역비탁법에 의해 정량되었다. 간단히 말하면, 대략 1.0 ㎖의 환자<br />

시료 혈청이 수집되고 플라스틱 수집 튜브에서 보관되었다. 시료는 적절한 완충액 내로 배치되고, 그리고 반응<br />

을 시작시키기 위하여 라텍스 미세입자에 결합된 항-CRP 항체가 상기 시료에 첨가되었다. 접합된 라텍스 미세입<br />

자를 보유하는 이들 항-CRP 항체는 시료 내에서 항원과 반응하여 항원/항체 복합체를 형성한다. 응집 이후에,<br />

이는 Roche/Hitachi Modular P 검광자를 이용하여 혼탁도에 대하여 측정되었다.<br />

결과<br />

혈청 CRP 수준은 조사된 모든 환자에서 상당히 감소하였다(도 40). 혈청 CRP 수준에서 감소는 급속하고, 이러한<br />

감소의 대략 90%가 Ab1 투여후 1주 이내에 발생하고, 그리고 연장된 점감된 수준이 적어도 최종 측정이 수행될<br />

때(최대 <strong>12</strong>주)까지 지속되었다. 결장직장 암을 앓는 1명의 환자를 제외하고 모든 사례에서, CRP 수준은 1주 이<br />

내에 정상 참고 범위(5-6 ㎎/ℓ이하) 이하로 하락하였다. 상기 결장직장 암 환자는 본 연구의 4주 시점에 유사<br />

한 정상적인 수준을 달성하였다. 따라서 진행된 암 환자에 Ab1의 투여는 혈청 CRP 수준의 급속하고 지속된 억제<br />

를 유발할 수 있다.<br />

실시예 26 Ab1은 류머티스성 관절염을 앓는 환자에서 혈청 CRP를 억제한다.<br />

도입<br />

혈청 CRP 농도는 류머티스성 관절염을 앓는 환자에서 강한 예후 지시자로서 확인되었다. 높은 수준의 CRP를 갖<br />

는 류머티스성 관절염을 앓는 환자는 거의 보편적인 악화를 보였다(Amos et al., 1 Br. Med. J. <strong>19</strong>5-97<br />

(<strong>19</strong>77)). 반대로, 낮은 CRP 수준을 갖는 환자는 질환 진행을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류머티스성 관절염을 효과<br />

적으로 치료하기 위하여 낮은 수준의 CRP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암시하였다(Id). 금, D-페니실아민,<br />

클로로퀸, 또는 댑손의 류머티스성 관절염 치료 섭생 동안 CRP의 추적은 CRP 수준이 지속적으로 통제될 때, 첫<br />

6개월의 치료후 방사선학적 악화가 저해된다는 것을 지시하였다(Dawes et al., 25 Rheumatology 44-49<br />

(<strong>19</strong>86)). CRP 생산과 방사선학적 진행 간에 고도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van Leeuwen et al., 32<br />

(Supp. 3) Rheumatology 9-13 (<strong>19</strong>97). 다른 연구에서, 활성 류머티스성 관절염을 앓는 환자의 경우에, 비정상<br />

적으로 상승된 CRP의 억제는 기능적 검사 측정규준에서 개선을 유발하는 반면, 지속된 CRP 상승은 동일한 측정<br />

규준에서 악화와 연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Devlin et al., 24 J. Rheumatol. 9-13 (<strong>19</strong>97)). CRP 재-상승이 없<br />

으면 추가의 악화는 관찰되지 않았는데, 이는 류머티스성 관절염 치료에 대한 실용적인 후보로서 CRP 억제를 지<br />

시하였다(Id). 따라서 류머티스성 관절염 환자에서 혈청 C-반응성 단백질(CRP)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또는<br />

치료제가 당분야에서 여전히 요구된다.<br />

방법<br />

공개특허 10-2011-01<strong>12</strong>308<br />

활성 류머티스성 관절염을 앓고 CRP ≥10 ㎎/ℓ를 갖는 <strong>12</strong>7명의 환자는 4가지 치료 군으로 분할되었다. 하나의<br />

군에서 환자는 16주 시험의 시작 시점에 한 번, 그리고 8주 시점에 다시 한 번, 위약(n=33), 80 ㎎(n=32), 160<br />

- <strong>12</strong>9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