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8.2013 View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도 34와 35에서는 토끼 항체 경쇄와 가변 중쇄 및 상동성 인간 서열 및 최종 인간화된 서열 사이에 정렬을 도시<br />

한다. 골격 영역은 FR1-FR4로서 확인된다. 상보성 결정 영역은 CDR1-CDR3으로서 확인된다.<br />

도 36과 37에서는 각각, 상이한 형태의 Ab1의 경쇄와 가변 중쇄 사이에 정렬을 도시한다. 골격 영역은 FR1-<br />

FR4로서 확인된다. 상보성 결정 영역은 CDR1-CDR3으로서 확인된다. CDR 영역 내에서 서열 차이는 강조된다.<br />

도 38에서는 Ab1 단일클론 항체의 각 투약 농도(위약, 80 ㎎, 160 ㎎, 그리고 320 ㎎)에 대한 평균 CRP 값을 도<br />

시한다.<br />

도 39에서는 도 38에 상응하는 각 투약 농도 군으로부터 CRP의 중앙 값(median value)에서 변화를 도시한다.<br />

도 40에서는 80, 160 또는 320 ㎎으로 <strong>12</strong>주 동안 투약후, 다양한 암을 앓는 환자에서 혈청 CRP 수준의 감소를<br />

도시한다.<br />

도 41에서는 80, 160과 320 ㎎으로 <strong>12</strong>주 동안 투약후, 류머티스성 관절염을 앓는 환자 집단에서 혈청 CRP 수준<br />

의 감소를 도시한다.<br />

도 42에서는 80, 160과 320 ㎎으로 <strong>12</strong>주 동안 투약후, Ab1이 평균 헤모글로빈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증명한다.<br />

도 43에서는 도 42에 제공된 데이터에 대한 기준선 헤모글로빈으로부터 평균 변화를 도시한다.<br />

도 44에서는 11 g/ℓ 미만의 기준선 헤모글로빈을 갖는 환자에서 160과 320 ㎎으로 <strong>12</strong>주 동안 투약후, Ab1이 평<br />

균 헤모글로빈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증명한다.<br />

도 45에서는 80, 160과 320 ㎎으로 16주 동안 투약후, Ab1이 평균 헤모글로빈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증명한다.<br />

도 46에서는 80, 160과 320 ㎎으로 <strong>12</strong>주 동안 투약후, Ab1이 평균 알부민 농도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증명한다.<br />

도 47에서는 도 46에 상응하는 각 투약 농도 군으로부터 평균 알부민 농도에 대한 기준선으로부터 변화를 도시<br />

한다.<br />

도 48에서는 35 g/ℓ 미만의 기준선 알부민을 갖는 환자에서 160과 320 ㎎으로 <strong>12</strong>주 동안 투약후, Ab1이 평균<br />

알부민 농도에서 지속적인 증가를 제공한다는 것을 증명한다.<br />

도 49에서는 <strong>12</strong>주 동안 Ab1 단일클론 항체의 각 투약 농도 군(위약, 80 ㎎, 160 ㎎, 그리고 320 ㎎)으로부터 평<br />

균화된 체중 변화 데이터를 제공한다.<br />

도 50에서는 도 49에 상응하는 각 투약 농도 군으로부터 체중의 평균화된 변화 비율을 제공한다.<br />

도 51에서는 도 49에 상응하는 투약 농도 군에 대한 평균화된 제지방량(lean body mass) 데이터에서 변화를 제<br />

공한다.<br />

도 52에서는 80, 160과 320 ㎎으로 8주 동안 투약후, 환자 집단에서 일부 투약 농도 군에 대한 평균 Facit-F FS<br />

하위척도 점수(subscale score)의 증가를 증명한다.<br />

도 53에서는 도 52에 상응하는 기준선 Facit-F FS 하위척도 점수로부터 변화를 도시한다.<br />

도 54에서는 Ab1이 80, 160과 320 ㎎에서 16주간 투약후, 위약에 비하여 D-이합체 수준을 하락시킨다는 것을 증<br />

명한다.<br />

도 55에서는 도 54에 상응하는 각 투약 농도 군으로부터 D-이합체 농도에서 기준선으로부터 변화 비율을 도시한<br />

다.<br />

도 56에서는 류머티스성 관절염 환자의 치료가 ACR 계량에 기초하여 위약에 비하여 현저한 개선을 산출한다는<br />

것을 증명한다.<br />

도 57에서는 80, 160, 그리고 320 ㎎에서 16주간 투약후, 위약에 비하여 ACR 20을 달성하는 환자를 보여준다.<br />

도 58에서는 80, 160, 그리고 320 ㎎에서 16주간 투약후, 위약에 비하여 ACR 50을 달성하는 환자를 보여준다.<br />

도 59에서는 80, 160, 그리고 320 ㎎에서 16주간 투약후, 위약에 비하여 ACR 70을 달성하는 환자를 보여준다.<br />

도 60에서는 위약, 80, 160, 그리고 320 ㎎ 투약 농도 군에 대한 ACR 계량의 구성요소의 기준선으로부터 변화를<br />

도시한다.<br />

- 1<strong>12</strong> -<br />

공개특허 10-2011-01<strong>12</strong>308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