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8.2013 View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0029]<br />

[0030]<br />

[0031]<br />

[0032]<br />

[0033]<br />

[0034]<br />

[0035]<br />

소시킨다고 보고한다. Am J Physiol Lung Cell Mol Physiol. 2005 Mar;288(3):L497-507. 이들 결과는 Syk의 저<br />

해제가 IL-6의 길항제로 이용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br />

Kedar 등은 탈리도미드(thalidomide)를 이용한 치료가 신장 세포 암종 환자의 실질적인 분획물에서 정상 또는<br />

거의 정상적인 수준으로 CRP 및 IL-6의 혈청 수준을 유의하게 감소시킨다고 보고한다. Int J Cancer. 2004 Jun<br />

10;110(2):260-5. 이들 결과는 탈리도미드, 그리고 아마도 이의 유도체, 예를 들면, 레날리도미드가 IL-6의 유<br />

용한 길항제라는 것을 암시한다.<br />

이에 더하여, 다른 공개된 특허 출원, US 20070292420은 진행된 단계 다발성 골수종을 가진 난치성 환자(N=<strong>12</strong>)<br />

를 치료하기 위하여 항-IL-6(cCLB-8) 항체를 이용한 상(phase) I 약량 상승 연구를 교시하고, 그리고 상기 연구<br />

에 의해 일부 환자가 질환 안정화를 갖는다는 것이 증명된다고 지시한다. 상기 출원은 또한, 치료 중단후, M 단<br />

백질 수준의 증가가 가속화되고, 이것이 치료 중지후 질환이 재발한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보고한다. 항-IL-6<br />

cCLB-8 항체는 유리 순환 IL-6을 저해하였다.<br />

상기 출원은 또한, 이러한 항체 시험에서 독성(2명의 심하게 전처리된 환자에서 일시적인 혈소판감소증 제외)<br />

또는 알레르기 반응이 관찰되지 않고, 그리고 모든 환자에서 C-반응성 단백질(CRP)이 검출 수준 미만으로 감소<br />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이들 항체(cCLB-8 항체)는 보고된 바에 의하면, 17.8일의 순환 반감기를 보유하고, 인간<br />

항-키메라 항체(HACA) 면역 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van Zaanen et al. <strong>19</strong>98). 이들은 CNTO 328의 투여가<br />

혈압, 맥박, 체온, 헤모글로빈, 간 기능 및 신장 기능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2명의 심하게 전<br />

처리된 환자에서 일시적인 혈소판감소증을 제외하고, 독성이나 알레르기 반응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그리고 인<br />

간 항-키메라 항체(HACA) 면역 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에서 3명의 환자는 치료 동안 경색-관련 합<br />

병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이들 발명자들은 항-IL-6 cCLB-8 항체와 관련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결<br />

론내렸는데, 그 이유는 감염성 합병증이 말기 단계 다발성 골수종에서 흔히 보고되고 주요 사망원인이기 때문이<br />

다. 이들은 상기 결과에 근거하여, 항-IL-6 cCLB-8 항체가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 안전하다고 결론내린다.<br />

본 명세서에 기술된 일정한 항-IL-6 항체는 또한, 아래의 공개된 특허 출원 및 공개되지 않은 특허 출원에서 개<br />

시되고, 이들은 본 출원의 양수인에 의해 공동-소유된다: 2009년 2월 24일자 제출된 U.S. 2009/0028784, WO<br />

2008/144763, U.S. Ser. No. <strong>12</strong>/391,717(Atty. Docket No. 67858.702201), 그리고 2009년 2월 5일자 제출된<br />

U.S. Ser. No. <strong>12</strong>/366,567(Atty. Docket No. 67858.702101).<br />

다른 항-IL-6 항체는 아래의 U.S. 특허 및 공개된 특허 출원에서 개시되었다: 7,482,436; 7,291,721;<br />

6,<strong>12</strong>1,423; 2008/0075726; 2007/0178098; 2007/0154481; 2006/0257407; 그리고 2006/0188502.<br />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승된 IL-6은 악액질, 쇠약, 피로, 그리고 발열의 발병에 관여한다. 피로와 연관된 질<br />

환과 이상에는 일반적인 피로, 스트레스-관련된 피로, 운동-유발된 피로, 암-관련된 피로, 염증 질환-관련된 피<br />

로와 만성 피로 증후군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참조: Esper DH, et al, The cancer cachexia<br />

syndrome: a review of metabolic and clinical manifestations, Nutr Clin Pract., 2005 Aug;20 (4):369-76;<br />

Vgontzas AN, et al, IL-6 and its circadian secretion in humans, Neuroimmunomodulation, 2005;<strong>12</strong>(3):131-<br />

40; Robson-Ansley, PJ, et al, Acute interleukin-6 administration impairs athletic performance in<br />

healthy, trained male runners, Can J Appl Physiol., 2004 Aug;29(4):411-8; Shephard RJ., Cytokine<br />

responses to physical activity,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IL-6: sources, actions, and clinical<br />

implications, Crit Rev Immunol., 2002;22(3):165-82; Arnold, MC, et al, Using an interleukin-6<br />

challenge to evaluate neuropsychological performance in chronic fatigue syndrome, Psychol Med., 2002<br />

Aug;32(6):1075-89; Kurzrock R., The role of cytokines in cancer-related fatigue, Cancer, 2001 Sep<br />

15;92(6 Suppl):1684-8; Nishimoto N, et al, Improvement in Castleman's disease by humanized anti-<br />

interleukin-6 receptor antibody therapy, Blood, 2000 Jan 1; 95 (1):56-61; Vgontzas AN, et al,<br />

Circadian interleukin-6 secretion and quantity and depth of sleep, J Clin Endocrinol Metab., <strong>19</strong>99<br />

Aug;84(8):2603-7; 그리고 Spath-Schwalbe E, et al, Acute effects of recombinant human interleukin 6 on<br />

endocrine and central nervous sleep functions in healthy men, J Clin Endocrinol Metab., <strong>19</strong>98<br />

May;83(5):1573-9; 이들 각각의 내용은 본 발명에서 그 전체가 참조로서 편입된다).<br />

공개특허 10-2011-01<strong>12</strong>308<br />

악액질과 연관된 질환과 이상에는 암-관련된 악액질, 심장-관련된 악액질, 호흡기-관련된 악액질, 신장-관련된<br />

악액질과 연령-관련된 악액질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참조: Barton, BE., Interleukin-6 and new<br />

strategie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hyperproliferative diseases and paraneoplastic syndromes,<br />

Expert Opin Ther Targets, 2005 Aug;9(4):737-52; Zaki MH, et al, CNTO 328, a monoclonal antibody to IL-<br />

- 37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