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3.2014 Views

내분비-대사분과 - 대한내과학회

내분비-대사분과 - 대한내과학회

내분비-대사분과 - 대한내과학회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strong>내분비</strong><strong>대사분과</strong> 509<br />

혈당 감소 속도가 100 mg/dL/hr 이상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이후 2-4<br />

시간 동안 관찰하여 혈당이 지속적으로 높거나 감소 속도가 교정 목표<br />

보다 늦으면 인슐린 정맥 주입속도를 1.5-3배로 증가시키고, 빠르면 주<br />

입속도를 줄인다.<br />

4) 혈당 농도가 250 mg/dL 전후에 도달하면 GKI 용액을 투여하고 인슐린<br />

주입 속도를 1-2 U/hr로 줄인다. 이후 대사 조절이 될 때까지는 혈당<br />

농도를 200-250 mg/dL을 유지되도록 인슐린 주입속도를 조절한다.<br />

5) 인슐린 정맥 주사는 DKA의 경우에는 음이온차이가 정상으로 되거나<br />

산혈증이 교정될 때까지 지속하고, HHS인 경우 혈중 삼투압이 310<br />

mOsm/kg 이하로 감소될 때까지 유지한다. 이후 피하주사로 변경한다.<br />

6) 환자가 식사를 시작하면 적정 용량의 인슐린을 피하 주사하고 2시간<br />

뒤 에 지속적인 인슐린 정맥 주입을 중단하여 정맥주사에서 피하 주사<br />

로 전환 중에 DKA가 재발하지 않도록 한다. 과거에 흔히 사용하던<br />

sliding scale에 의한 인슐린 투여보다는 다회 인슐린 요법을 시작하도<br />

록 한다. 과거 인슐린을 사용하던 환자는 원래 DKA, HHS 발생 전 투<br />

여량을 고려하여 투여하며, 새로 진단받은 환자에서 인슐린 총 투여량<br />

은 0.5-1.0 U/kg/day로 시작한다.<br />

내<br />

분<br />

비<br />

대<br />

사<br />

* 실전 예] 체중 60 kg인 환자에서 인슐린 정맥 투여 방법<br />

0.9% saline 500 mL에 RI 250 U를 혼합한 용액을 준비한다[0.5 U/mL].<br />

- 이 용액을 20 mL/hr로 투여하면 인슐린 투여 속도는 10 U/hr가 된다.<br />

- 0.1 U/kg/hr로 투여하고자 하면 이 용액을 12 mL/hr로 투여하면 된다.<br />

* 실전 예] 참고로 일부 병원에서 사용되는 혈당에 따른 인슐린 정맥 주사 속도 조절<br />

방법은 다음과 같다. [0.9% saline 500 mL와 RI 250 U 혼합 용액을 준비한다.]<br />

혈당(mg/dL)<br />

정맥 주입 속도(mL/hr)<br />

451- 50<br />

351-450 12<br />

301-350 10<br />

251-300 8<br />

201-250 6<br />

151-200 4<br />

101-150 3<br />

71-100 2<br />

-70 1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