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3.2014 Views

내분비-대사분과 - 대한내과학회

내분비-대사분과 - 대한내과학회

내분비-대사분과 - 대한내과학회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554 내과전공의를 위한 진료지침<br />

내<br />

분<br />

비<br />

대<br />

사<br />

- Day 2 : 24 hr urine collection for UFC<br />

(제1일과 2일의 평균값을 기저치로 함. 입원시켜 low 및 high<br />

dose DST를 연속해서 시행할 경우 기저 검사를 맨 먼저 시<br />

행한다.)<br />

- Day 3 : dexamethasone 2 mg q 6 hrs p.o.<br />

- Day 4 : dexamethasone 2 mg q 6 hrs p.o.<br />

&24 hr urine collection for UFC<br />

- Day 5 : 소변 수집이 끝난 직후에 혈중 cortisol, ACTH 측정<br />

(2) 판정<br />

- 미세선종성 쿠싱병의 경우 Day 4의 UFC치가 기저치보다<br />

90% 이상 억제된다.<br />

- 양측성 부신증식증과 이소성 CRH분비의 경우도 억제될 수<br />

있다.<br />

- 뇌하수체 거대선종(일부), nonendocrine origin ACTH 분비종<br />

양, 부신종양; 억제되지 않음.<br />

다) Inferior petrosal sinus venous sampling for ACTH<br />

- 방법 : ovine CRH 1 μg/kg 정주전, 2, 5, 10분 후에 각각<br />

antecubital vein과 inferior petrosal sinus에서 동시에 ACTH 측정<br />

을 위해 혈액채취<br />

- 쿠싱병<br />

CRH자극 전 : peak petrosal sinus:peripheral ACTH ratio > 2:1<br />

CRH자극 후 : peak petrosal sinus:peripheral ACTH ratio > 3:1<br />

- 쿠싱병(미세선종)의 경우 50%에서만 MRI로 발견됨.<br />

(정상인에서도 뇌하수체 선종이 발견되는 빈도가 10-20%)<br />

- MRI상 뇌하수체 종양이 존재해도 ACTH 과다분비를 증명할 수<br />

없거나, 양측 부신증식증의 원인이 불분명할 때 유용함.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