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3.2014 Views

내분비-대사분과 - 대한내과학회

내분비-대사분과 - 대한내과학회

내분비-대사분과 - 대한내과학회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strong>내분비</strong><strong>대사분과</strong> 583<br />

고지혈증<br />

1. 고지혈증의 개요<br />

1) 임상적 의의<br />

경제수준의 향상과 함께 식생활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지난<br />

20여 년간 우리나라 사람들이 섭취하는 총 에너지 중 지방이 차지하는<br />

비율은 1970년에 8.9%, 1980년 9.6%, 1985년 13.7%, 1990년 13.9%,<br />

1993년 18.0%, 1998년 19.0%로 점차 증가 추세에 있다. 이는 한국인의<br />

식생활이 점차 서구화되면서 지방의 섭취량이 늘었기 때문이다. 그러<br />

나 이러한 지방섭취량은 구미 여러 나라의 지방 섭취권장량이 총 섭취<br />

권장 열량의 30%이며, 우리나라의 권장량이 그동안 20%임을 감안하<br />

여 볼 때 아직까지는 낮은 수준이다.<br />

2형 당뇨병과 심혈관질환은 특히 고지혈증을 포함한 여러 위험 인자<br />

들 즉, 비만, 인슐린저항성, 고혈당, 고혈압 및 고지혈증과 밀접한 연관<br />

을 갖고 있다(그림 1). 본고에서는 동맥경화증과 고지혈증과의 관계에<br />

대하여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동맥경화증과 고지혈증과의 상<br />

관성은 잘 알려져 있다. 즉, 혈중 총콜레스테롤이 증가할수록 뇌혈관<br />

질환, 심혈관질환은 증가하고, 반면에 식사요법, 약물요법 등의 치료방<br />

법으로 총콜레스테롤을 대폭 감소시키면, 허혈성 심질환을 예방 또는<br />

감소시킬 수가 있다.<br />

우리나라 사람들의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는 미국과 비교해볼 때, 젊은<br />

연령에서는 10 mg/mL 정도, 중년이후에는 20 mg/mL 정도 낮은 것으로 보<br />

고되고 있다.<br />

내<br />

분<br />

비<br />

대<br />

사<br />

그림 1. Factors contributing to cardiometabolic risk Diabetes Care, 2008;31:812-822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