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3.2014 Views

내분비-대사분과 - 대한내과학회

내분비-대사분과 - 대한내과학회

내분비-대사분과 - 대한내과학회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556 내과전공의를 위한 진료지침<br />

내<br />

분<br />

비<br />

대<br />

사<br />

2 low dose DST & CRH stimulation test<br />

- 방법 : dexamethasone 0.5 mg q 6 hrs p.o. for 2 days<br />

마지막 dexamethasone 투여 2시간 후 CRH 1 μg/kg IV<br />

- 판정 : 쿠싱증후군의 경우, CRH 주사 15분 후 혈청<br />

cortisol > 1.4 μg/dL<br />

3 midnight 코르티솔 농도; 정상 < 7.5 μg/dL<br />

(2) 급성 질환 : dexamethasone 억제 실패<br />

(3) 의인성 쿠싱 증후군 : 기저 혈중 및 요중 cortisol 농도 감소<br />

4) 위치선정을 위한 검사법<br />

가) 쿠싱병<br />

sella MRI가 sella CT보다 좋으며 뇌하수체 미세선종 중 85%가 발<br />

견된다. 생화학적 검사가 반드시 뒷받침되어야 함.<br />

나) 부신 쿠싱 증후군<br />

(1) 부신 CT : 가장 좋다.<br />

(2) 부신 MRI<br />

- 일부에서 CT에 보조적으로 사용되나 작은 부신 병변인 경<br />

우 민감도가 낮다.<br />

- T2-weighted image로 부신 암종과 선종을 감별하여 수술 결<br />

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br />

다) 이소성 쿠싱 증후군<br />

90% 이상이 흉부에 위치, 가장 많은 것은 기관지 카르시노이드<br />

(1) 흉부 X-선 : 기관지의 소세포폐암 환자의 50%에서 병변 발견<br />

(2) 흉부 CT, 복부 CT 필요<br />

5. 치료<br />

1) 경접형골동 선종 제거술<br />

- 미세선종의 관해율 : 75-90%<br />

- 수술 후 저코티솔혈증이 생길수 있으므로 코티솔을 보충해 주면서<br />

점차적으로 줄여나가야 한다.<br />

- 수술 후 재발한 경우: 다시 수술하면 50% 정도의 관해율을 보인다.<br />

2) 뇌하수체 방사선 조사<br />

- 수술을 할 수 없거나 실패한 경우 고코티솔혈증을 치료하기 위해서<br />

시행<br />

- 수술한 이후 고코티솔혈증이 지속되는 경우 치료할 수 있다.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