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3.2014 Views

내분비-대사분과 - 대한내과학회

내분비-대사분과 - 대한내과학회

내분비-대사분과 - 대한내과학회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strong>내분비</strong><strong>대사분과</strong> 551<br />

나라에서 처방되며 하루 2.5 mg 경구 투여<br />

4) Calcitonin<br />

하루 한 차례 200 단위씩 비강 내 분무<br />

5) Bisphosphonate<br />

전 세계적으로 골다공증 치료 목적으로 가장 많이 처방되고 있는 대표<br />

적인 골흡수 억제제로서, 현재 미국 FDA에서는 alendronate, risedronate,<br />

ibandronate와 zoledronate가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 목적으로 인정되<br />

고 있고, 국내에서는 이외에도 pamidronate가 골다공증의 치료 목적으<br />

로 인정됨.<br />

경구 투여 시 장에서의 흡수율이 1% 이하로 매우 낮으므로 흡수를 최<br />

대화하기 위해서는 일어나자마자 아침 식사 최소한 30분 전에 200 ml<br />

이상 충분한 양의 물과 함께 복용하며 이후 눕지 않도록 함. 주사 제<br />

제들은 경구제제들에 비해 위장관 부작용이 거의 없고 3개월<br />

(ibandronate) 혹은 1년에 한번(zoledronate) 씩 정맥 주사함으로서 환자<br />

들의 치료에 대한 순응도를 높일 수 있어 최근 사용이 증가<br />

급성부작용으로서 상부 위장관 부작용과, 급성기 반응으로서 비스포<br />

스포네이트를 과량 경구복용하거나 혈관주사 시, 처음 투여한 후 두<br />

통, 근육통 및 독감증상과 함께 체온이 약간 상승할 수 있으나 투여를<br />

반복할수록 발생률은 현저히 감소. 만성부작용으로서 장기간 비스포<br />

스포네이트를 투여 받고 있는 환자들에서 악 안면부위의 뼈가 노출되<br />

어있으면서 두개골 부위에 방사선 치료를 받은 과거력이 없고 뼈 노출<br />

이 의료진에게 확인된 후 8주 이내에 회복되지 않는 턱뼈 괴사<br />

(osteonecrosis of jaw)가 최근 보고됨.<br />

가) Alendronate :<br />

하루 10 mg 투여하거나, 주 1회 70 mg 및 70 mg에 비타민 D3가<br />

2800 단위 혹은 5600 단위가 포함된 제제를 주 1회 경구 투여<br />

나) Ibandronate :<br />

월 1회 150 mg 경구투여하거나, 3개월 마다 3 mg 정맥 주사<br />

다) Risedronate :<br />

하루 5 mg, 주 1회 35 mg, 월 1회 150 mg 경구 투여<br />

라) Zoledronate :<br />

1년에 한 차례 5 mg을 최소 15분 이상 정맥 주사<br />

마) Pamidronate :<br />

3개월 간격으로 30 mg 정맥 주사<br />

내<br />

분<br />

비<br />

대<br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