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3.2014 Views

내분비-대사분과 - 대한내과학회

내분비-대사분과 - 대한내과학회

내분비-대사분과 - 대한내과학회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strong>내분비</strong><strong>대사분과</strong> 569<br />

사하여 조절하고, 부정맥이 나타나는 경우 propranolol 또는 lidocaine<br />

(75-100 mg IV bolus)으로 조절한다.<br />

- 수술 후에 저혈압, 빈맥, 소변량감소는 수분부족, 심근허혈증, 출혈<br />

등을 의미하므로 주의한다.<br />

- 양측부신절제술이 필요한 경우에는 혈액량감소, 저혈당, 부신기능저<br />

하증 등이 예상되므로 수술 전 당류코르티코이드를 투여하고 수술<br />

후 혈당을 측정한다.<br />

ORALLY A DMINISTERED DRUGS USED TO TREAT PHEOCHROMOCYTOMA<br />

Drug Dosage, mg/dayInitial (maximum) Side Effects<br />

α-ADRENERGIC BLOCKING AGENTS<br />

Phenoxybenza mine 20 (100)<br />

Postural hypotension, tachycardia,<br />

miosis , nas al congestion, diarrhea,<br />

in hi bi ti on of eja cu lati on , fati gu e<br />

Prazosin 1 (20)<br />

First-dose effect, dizziness,<br />

drows iness, headache, fatigue,<br />

pa lpitati on s, na use a<br />

Terazosin 1 (20) [ pa lpitati on s, somnole nc e<br />

First-dose effect, asthenia, blurred<br />

vision, dizziness, nasal congestion,<br />

nausea, peripheral edema,<br />

Doxazosin 1 (20) First-dose effect, orthostasis,<br />

peripheral edema, fatigue,<br />

COMBINED α- ANDβ-ADRENERGIC BLOCKING som AGENT nolence<br />

Dizziness, fatigue, nausea, nasal<br />

L abe tal ol 2 00 ( 120 0)<br />

congestion, impotence<br />

CALCIUM CHANNEL BLOCKERS<br />

Nicardipine sustained release 30 (120)<br />

Edema, dizziness, headache, flushing,<br />

na usea , dys pe psi a<br />

CATECHOLAMINE SYNTHESIS INHIBITOR<br />

Sedation, diarrhea, anxiety,<br />

nightmares , crystalluria, galactorrhea,<br />

α-Methyl-ρ-L-tyros ine (Metyrosine) 1000 (4000)<br />

extrapyramidal sym ptoms<br />

내<br />

분<br />

비<br />

대<br />

사<br />

6. 예후 및 경과<br />

- 수술 후 5년 생존율은 95% 이상이며 재발률은 10% 이하이다(악성인 경<br />

우 5년 생존율 50% 이하).<br />

- 성공적인 수술 후 카테콜라민 배설은 약 2주일 내에 정상화되며, 완전<br />

한 종양 제거를 확인하기 위해 퇴원 전이나 수술 4-6주와 6개월 후에<br />

카테콜라민 배설을 측정한다.<br />

- 가족성인 경우에는 재발이 흔하기 때문에 증상이 없더라도 수년에 걸쳐<br />

1년에 한 번씩 카테콜라민의 배설을 측정한다.<br />

- 수술 후 3/4에서 고혈압이 완치되며, 1/4의 경우에는 본태성고혈압이 존<br />

재하거나 카테롤라민에 의한 혈관손상 등에 의해서 고혈압이 지속된다.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