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3.2014 Views

내분비-대사분과 - 대한내과학회

내분비-대사분과 - 대한내과학회

내분비-대사분과 - 대한내과학회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576 내과전공의를 위한 진료지침<br />

내<br />

분<br />

비<br />

대<br />

사<br />

분 증상을 유발하지 않으나, 35%에서 침습성의 성향을 보여 두개골,<br />

경질막(dura), 접형동으로 침범할 수 있다. 악성은 0.1-0.2%로 매우 드<br />

물다.<br />

3) 임상증상<br />

가) 프롤락틴 분비세포 선종(락토트로프 선종)<br />

월경장애/무월경, 유루증, 불임, 성욕감퇴, 발기장애, 두통, 시야장<br />

애, 골다공증<br />

나)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분비세포 선종(코르티코트로프 선종)<br />

중심성 비만, 쉽게 멍이 듦, 근위성 근병증, 신경정신학적 증상, 피<br />

부 선조, 피부 엷어짐, 조모증, 골다공증, 고혈압, 두통<br />

다) 성장호르몬 분비세포 선종(소마토트로프 선종)<br />

손 발 커짐, 얼굴형태 변함, 손목터널 증후군, 코골이/수면, 무호흡,<br />

하악비대 및 거설증, 골관절염 및 관절통, 발한, 두통, 시야장애<br />

라) 갑상선자극호르몬 분비세포 선종(타이로트로프 선종)<br />

더워 함, 손떨림, 체중감소, 불면, 설사, 발한<br />

마) 비기능성 선종(대부분 성선자극 분비세포 선종)<br />

두통, 시야장애, 성선기능저하증, 난소 과자극 혹은 테스토스테론<br />

증가(드묾)<br />

∙임상적 비기능성 선종: 대부분 고나도트로프 선종으로 난포자<br />

극호르몬이나 황체형성호르몬 혹은 알파/베타 아단위를 분비하<br />

지만 호르몬 과잉 증상 없이 우연히 신경학적 증상으로 나타남.<br />

바) 뇌하수체 암 : 조직병리학적으로 뇌하수체의 악성 종양 진단이 불<br />

가능하고 전이 여부로 진단. 68-88%에서 프롤락틴, 부신피질자극<br />

호르몬, 성장호르몬 등의 호르몬 과잉분비 소견을 보임. 평균 여명<br />

은 2-2.4년으로 불량<br />

2. 진단<br />

1) 영상 : MRI 및 CT 스캔<br />

MRI가 CT에 비해 다면적 분석과 연부조직 조영이 우수하며 통상 3 mm<br />

간격으로 스캔한다. CT 스캔은 관상영상을(coronal image) 주로 판독한다.<br />

MRI는 시상(sagittal) T1~영상의 한 단면에서 전엽, 후엽, 뇌하수체줄기의 관<br />

찰이 용이하며, 관상영상은 뇌하수체와 해면정맥동과의 관련 정보를 제공함<br />

으로 뇌하수체 선종의 영상 진단에 적절하다. 선종은 통상 신호강도가 떨어<br />

지는 국소 병변으로 나타난다. 뇌하수체 암의 진단에도 MRI가 탁월하며, 뇌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