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3.2014 Views

내분비-대사분과 - 대한내과학회

내분비-대사분과 - 대한내과학회

내분비-대사분과 - 대한내과학회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strong>내분비</strong><strong>대사분과</strong> 537<br />

7. 치료<br />

1) 치료제/용량:T 4 (levothyroxine, 반감기 1주)를 이용, 통상 1.6-1.7 μg/kg<br />

의 용량(보통 성인 100 μg/일)으로 시작 6-8주 후 TSH를 측정하여 TSH<br />

가 정상범위의 아래쪽(0.5-2.0 μU/ml)이 되도록 12.5-25 μg씩 용량 증감.<br />

TSH가 억제될 정도의 과치료는 심방세동의 위험을 증가시킴. 목표<br />

TSH에 도달하면 매년 TSH검사. 속발성 갑상선저하증: 투여 시작 2-4<br />

주 후 Free T 4 농도를 기준으로 정상범위의 상위 50% 정도로 용량 조<br />

절. 반감기가 짧은 T 3, T 4-T 3 복합제는 특별한 상황을 제외하고 권고되<br />

지 않음. 음식에 의한 흡수장애로 공복에 투여. 관상동맥질환자 및 노<br />

인: 심근허혈 유발 위험 있어 소량 시작 서서히 증량. 12.5-25 μg/일로<br />

시작 증상에 유의하며 8주 간격 12.5-25 μg/일씩 증량<br />

2) 특별한 상황<br />

가) TSH가 정상화되지 않는 경우:환자 순응도 문제가 가장 흔함. 동<br />

반 투여되는 약제 확인- ferrous sulfate, calcium supplement, cholestyramine,<br />

lovastatin, aluminum hydroxide, rifampicin, amiodarone, carbamazepine,<br />

phenytoin 등, 드물게 흡수장애(malabsorption) 증후군<br />

나) 임신: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에서는 임신초기부터 갑상선호르몬<br />

요구량 증가(보통 ~50%)하므로 유의. 태아 뇌 발달에 대한 배려 필<br />

요. 임신 시 발견된 무증상갑상선저하증은 즉시 치료 개시. 갑상선<br />

저하증환자 위험이 있는 가임 여성에서는 임신 전 갑상선기능이<br />

정상임을 확인<br />

내<br />

분<br />

비<br />

대<br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