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6.2013 Views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向 개인의 語錄<strong>이</strong> 아니기 때문에 《菜根談》 64)과도 구별된다고 할<br />

수 있겠다. 다시 말해 ≪說苑≫은 독특<strong>한</strong> 형식을 지니고 있으며 자<br />

체를 소설로 보기는 모호하지만 후대의 소설 창작에 큰 영향을 미<br />

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strong>이</strong>라 하겠다.<br />

시대를 막론하고 보편적으로 통하는 윤리법칙인 勸善懲惡과 因果<br />

應報는 선<strong>한</strong> 일을 통하여 상을 받고 악<strong>한</strong> 일을 하면 벌을 받게 된<br />

다는 <strong>이</strong>야기다.<br />

因果應報와 勸善懲惡<strong>이</strong> 인생을 사는 基本倫理라 하겠지만 주된 주<br />

제로 孝에 대해 <strong>이</strong>야기하고 있다. <strong>이</strong>는 일반 백성들에게 孝의 중요<br />

성을 강조하고 백성들을 교육하고자 하는 의도가 엿보인다.<br />

아주 작은 일<strong>이</strong>라도 타인에게 善을 베풀면 후에 그보다 몇 배 더<br />

큰 보답을 받을 수 있음을 말하여 사람을 대할 때에 함부로 대하거<br />

<strong>나</strong> 해를 끼치지 않기를 강조하며 은연중에 각성을 촉구하고 있는<br />

것<strong>이</strong>라 할 수 있다.<br />

또 정치적인 측면에서 교훈성<strong>이</strong> 거의 대부분<strong>이</strong>며 특히 왕으로서의<br />

도리와 신하로의 도리를 엄격히 구분하여 말하고 있다.<br />

몇몇 고사에서는 괴<strong>이</strong><strong>한</strong> 자연현상, 사회현상을 군주의 정치적 역량<br />

과 결부 지어 국가의 흥망성쇠의 징조로 설명하고 있다.<br />

董重舒는 왕은 하늘의 뜻을 받아서 되는 것으로 왕은 하늘의 뜻을<br />

64) 菜根譚 - 중국 明末의 還初道人 洪自誠의 語錄. 내용은 前集 222조는 주<br />

로 벼슬<strong>한</strong> 다음 사람들과 사귀고 직무를 처리하며 임기응변하는 仕官保身의<br />

길을 말하며, 後集 134조는 주로 은퇴 후에 산림에 閑居하는 즐거움을 말하<br />

였다. 합계 356조는 모두 단문<strong>이</strong>며 대구對句를 많<strong>이</strong> 쓴 간결<strong>한</strong> 문장<strong>이</strong>다.<br />

사상적으로는 유교가 중심<strong>이</strong>며, 불교와 도교도 가미되었다. <strong>이</strong> 책은 요컨대<br />

동양적 인간학을 말<strong>한</strong> 것<strong>이</strong>며, 제목인 '채근'은 宋<strong>나</strong>라 汪信民의 《小學》<br />

〈人常能咬菜根卽百事可成〉에서 따온 것<strong>이</strong>다.<br />

- 96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