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6.2013 Views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그리고 先秦의 諸子書 및 史書가 후세 중국의 문학과 역사 전반에<br />

끼친 영향<strong>이</strong> 절대적으로 컸던 만큼 문학사에서도 예외일 수 없다<br />

하겠다. 先秦 제자백가의 산문은 각 사상가와 그 弟子들의 철학과<br />

학술사상 등을 기록<strong>한</strong> 것<strong>이</strong> 대부분인데 그러<strong>한</strong> 기록 중에는 인물의<br />

구체적인 언행<strong>이</strong><strong>나</strong> 인물의 성격을 생동감 있게 묘사<strong>한</strong> 故事가 많다.<br />

<strong>이</strong>러<strong>한</strong> 志人故事는 내용상 길고 짧음의 차<strong>이</strong>는 있지만 대개 일정<br />

<strong>한</strong> 주제가 담겨 있고 등장 인물의 형상<strong>이</strong> 두르려지며 내용의 전개<br />

에 있어서도 일정<strong>한</strong> 故事性을 띠고 있는 것<strong>이</strong> 많다.<br />

또<strong>한</strong> 고사에서 사용하는 묘사수법<strong>이</strong> 다양하여 문학적 가치도 높다<br />

고 하겠다. 특히 寓言의 형식으로 <strong>이</strong>루어진 단편고사에서 <strong>이</strong>러<strong>한</strong> 특<br />

성<strong>이</strong> 강하게 <strong>나</strong>타<strong>나</strong>고 있다 <strong>이</strong>는 선진 제자백가의 산문<strong>이</strong> <strong>이</strong>미 志<br />

人小說的 요소를 갖추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strong>이</strong>다.<br />

《論語》는 공자가 제자들<strong>이</strong><strong>나</strong> 당시 사람들과 <strong>나</strong>눈 문답과 제자들<br />

<strong>이</strong> 서로 함께 談論하거<strong>나</strong> 스승에게 직접 들은 말을 기록<strong>한</strong> 것으로<br />

당시 제자들<strong>이</strong> 각자 기록해 놓았던 것을 공자가 죽고 <strong>나</strong>서 서로 모<br />

아 편찬<strong>한</strong> 것<strong>이</strong>다. 공자와 그 제자들의 실제적인 언행<strong>이</strong> 묘사되어<br />

있다. <strong>이</strong>는 語錄體의 산문으로 언어가 간결하고 함축적<strong>이</strong>다. 간단<strong>한</strong><br />

문장형식으로 <strong>이</strong>루어진 語錄體 산문으로 언어는 간결하지만 거기에<br />

깊은 뜻을 함축하고 있다. 다시 말해 대화와 행동을 통하여 인물의<br />

형상을 부각시켰으며 간단<strong>한</strong> 대화와 행동의 묘사를 통해 등장인물<br />

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고 있다.<br />

선술<strong>한</strong> 바 있으<strong>나</strong> 외척과 환관의 세력에 의해 정치적 혼란기를 살<br />

아가며 어지러워진 사회질서와 무너진 군신관계를 바로 세우고자<br />

하였던 것<strong>이</strong>다. ≪說苑≫의 고사 가운데 강<strong>한</strong> 왕<strong>이</strong> 있으면 강<strong>한</strong> 대<br />

부가 <strong>나</strong>타날 수 없다는 말<strong>이</strong> 있다. 다시 말해 권력<strong>이</strong>란 양립할 수<br />

없는 것<strong>이</strong>다. <strong>이</strong>것은 정치에 대<strong>한</strong> 그의 생각<strong>이</strong> 잘 드러<strong>나</strong>는 부분<strong>이</strong><br />

아닐 수 없다. 그는 황손의 <strong>한</strong> 사람으로 황실의 장서를 마음껏 볼<br />

- 10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