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6.2013 Views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예문에서 보여지듯 ‘현명함’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왕으로서의 현<br />

명함과 신하로서의 현명함을 말<strong>한</strong>다. <strong>이</strong> 예문은 임금<strong>이</strong> 어진 사람을<br />

알아보고 등용할 수 있는 현명함에 대하여 말하였다.<br />

9卷「正諫」篇 총26章은 죽음까지도 불사하는 올바른 간언의 모<br />

습을 보<strong>이</strong>고 있다. 소개된 대부분의 고사가 간언을 하는 자는 누구<br />

든지 죽<strong>이</strong>겠다고 말하는 왕 앞에 <strong>나</strong>가 간언<strong>한</strong> 사람들의 <strong>이</strong>야기<strong>이</strong>다.<br />

임금에게 과오가 있음에도 간언하지 않는 것은 임금<strong>이</strong> 망하는 것<br />

을 경홀히 여기기 때문<strong>이</strong>다. 만약 3번<strong>이</strong><strong>나</strong> 누차 얘기를 하였음에도<br />

임금<strong>이</strong> 듣지 않는다면 떠<strong>나</strong>라고 말하고도 있다. 하지만 죽음까지 각<br />

오<strong>한</strong> 올바른 직언은 왕에게 받아들여질 테니 임금의 행동을 그치게<br />

할 수 있다.<br />

또 신하의 말을 듣고 잘못을 뉘우치고 멈출 수 있는 임금<strong>이</strong>라면<br />

겸손<strong>한</strong> 마음을 가지고 있는 인물<strong>이</strong>기에 그 덕 또<strong>한</strong> 후대에 칭송할<br />

만 <strong>한</strong> 것인 것<strong>이</strong>다.<br />

12章에서는 ‘군자에게는 부끄러움을 알게 하고 소인에게는 아픔을<br />

알게 해주어야 <strong>한</strong>다’는 말<strong>이</strong> 있다. 다시 말해 <strong>이</strong>미 부끄러움을 알<br />

정도라면 군자라고 말해도 틀리지 않다는 것<strong>이</strong>다.<br />

20章에서는 伍子胥의 계속되는 간언을 듣지 않고 도리어 伍子胥를<br />

죽<strong>이</strong>지만 그가 죽고 난 후 伍子胥의 말대로 된 것을 보고 자결하게<br />

된 夫差의 얘기가 소개되고 있고 있기도 하다.<br />

즉, 9卷에서는 간언을 하는 신하들의 모습과 함께 간언을 듣지 않<br />

았던 자의 최후를 보<strong>이</strong>고 있다. 하지만 諫言함<strong>이</strong> <strong>이</strong> 권의 중심<strong>이</strong>기<br />

때문에 다음의 예문을 소개하려 <strong>한</strong>다.<br />

25) 上揭書 - 「8卷 尊賢 36章」P.356<br />

- 49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