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6.2013 Views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다.<br />

第Ⅳ章. 體裁 및 描寫技法에 따른 分類<br />

第Ⅳ章에서는 ≪說苑≫의 고사들을 묘사기법에 따라 <strong>나</strong>눠보려 <strong>한</strong><br />

앞에서도 말하였듯 대부분의 고사가 두 사람<strong>이</strong> 등장하는 대화체의<br />

문장<strong>이</strong>다. 그 문장들 가운데에서 대화 가운데 무엇을 얘기하였는지<br />

를 세분하여 보았다. 또 특정화자 없<strong>이</strong> 기술된 문장도 있다. <strong>이</strong>러<strong>한</strong><br />

문장을 찾아 따로 분류하였으며 앞에서 보였던 바와 같<strong>이</strong> 특정 인<br />

물<strong>이</strong> 단독화자로 등장하는 문장을 찾아 ≪說苑≫에 등장하는 서술<br />

기법을 세분하였다.<br />

第1節. 對話體的 記述<br />

(1). 대화를 통해 도를 밝힘<br />

≪說苑≫에 소개되는 대부분의 고사들의 등장인물은 대략 2명<br />

<strong>이</strong>상<strong>이</strong>다. 대화를 주고받을 때에 하<strong>나</strong>는 묻고 하<strong>나</strong>는 대답하는 경우<br />

가 일반적<strong>이</strong>고 대부분<strong>이</strong>다. 서로 대화를 주고받으며 실천해야할 유<br />

교<strong>이</strong>념<strong>이</strong><strong>나</strong> 도리에 대해 드러내고 있다.<br />

다음에 보<strong>이</strong>는 고사는 대화를 통하여 道와 思想에 대해 피력하고<br />

있는 경우<strong>이</strong>다.<br />

季康子가 子游에게 물었다. 「인자도 남을 사랑합니까?」<br />

「그렇소!」 「그럼 남도 역시 그를 사랑합니까?」 그러자 강자가<br />

- 79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