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6.2013 Views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와 외리를 실천<strong>한</strong> 여성들, 여섯 번째〈辯通傳〉에서는 언어능력<strong>이</strong><br />

뛰어<strong>나</strong>고 유연하게 사건에 대처할 줄 아는 여성들. 일곱번째〈孼嬖<br />

傳〉에서는 음탕하고 도리에 어긋<strong>한</strong> 행동을 <strong>한</strong> 여성들. <strong>이</strong>같<strong>이</strong> 일곱<br />

부류의 여성들의 행적을 실었다.<br />

《列女傳》에서 〈孼嬖傳〉을 제외하고는 不德의 모습으로 천편일<br />

률적인 묘사에서 벗어난, 소질과 능력을 발휘하고 적극적인 사회의<br />

義를 추구<strong>한</strong> 여성들의 존재가 없는 것은 아니다. <strong>이</strong>는 비록 유학<strong>이</strong><br />

국교로 정해지긴 했지만 아직은 고대의 자유로운 풍속<strong>이</strong> 남아있던<br />

<strong>한</strong>대의 사회 정황을 반영하는 것<strong>이</strong>기도 하고 유향 자신의 비교적<br />

너그러운 사상적 경향을 드러내 보<strong>이</strong>는 것<strong>이</strong>기도 하다. 그러<strong>나</strong> <strong>이</strong>러<br />

<strong>한</strong> 사실<strong>이</strong> 궁극적으로 《列女傳》<strong>이</strong> 여성 자신보다 남성, 즉 그들<strong>이</strong><br />

구축<strong>한</strong> 가부장체제를 옹호하고 유지하기 위해 저술되었다는 본래의<br />

넘어서지는 못<strong>한</strong>다고 평가되고 있다.<br />

어진 아내 혹은 훌륭<strong>한</strong> 어머니로서의 모범적인 여성상을 제시<strong>한</strong><br />

〈母儀傳〉으로부터 시작해서 <strong>나</strong>라와 집안을 망친 사악<strong>한</strong> 여성들을<br />

열거<strong>한</strong> 〈孼嬖傳〉으로 끝<strong>나</strong>는 《列女傳》의 전체구성은 결국 여성<br />

의 능력과 역할<strong>이</strong> 어디에서 시작해서 어디에서 끝<strong>나</strong>야 하는지, 그<br />

<strong>한</strong>계와 귀착점을 은연중에 제시하고 있기 때문<strong>이</strong>다.<br />

그러<strong>나</strong>《列女傳》은 고대 여성들의 다양<strong>한</strong> 삶을 보여주고 있는 좋<br />

은 자료라 하겠다.<br />

- 19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