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6.2013 Views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매우 인의가 있거<strong>나</strong> 공정하지 않아도 천하를 얻었던 자들<strong>이</strong> 있다.<br />

훌륭<strong>한</strong> 사람을 등용하였기 때문<strong>이</strong>다. 어진 임금은 선비를 인정해<br />

주어야 하고 자신<strong>이</strong> 그보다 낮은 것을 표할 때 훌륭<strong>한</strong> 선비들을 등<br />

용할 수 있다.<br />

어진 사람을 알아보았다 하여도 등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 등용<br />

하였더라도 간언을 실천하지 않는 다면 안 된다.<br />

어진 임금은 선비의 얘기를 듣고 실천하지 않을 수는 있지만 아예<br />

듣지도 않는 자가 아니다.<br />

훌륭<strong>한</strong> 선비를 낮은 자리에 두는 것은 <strong>나</strong>라의 큰 슬픔<strong>이</strong>며 그들의<br />

지혜를 사용하려면 합당<strong>한</strong> 대우가 있어야 <strong>한</strong>다.<br />

子路가 孔子에게 물었다.「<strong>나</strong>라를 어떻게 다스려야 합니까?」<br />

공자가 대답하였다.「어진 <strong>이</strong>를 존경하고, 불초<strong>한</strong> 자를 멀리하면<br />

된다.」자로가 다시 물었다.「笵氏ㆍ中行氏는 어진 <strong>이</strong>를 공경하고<br />

불초<strong>한</strong> 자를 멀리하였는데도 망했습니다. 그 <strong>이</strong>유는 무엇입니<br />

까?」<strong>이</strong>에 공자가 <strong>이</strong>렇게 설명하였다.<br />

「범씨 중항씨는 어진 <strong>이</strong>를 공경하되 <strong>이</strong>를 등용하지 않았고, 불<br />

초<strong>한</strong> 자를 멀리하되 아주 끊지를 못했느니라. 어진 <strong>이</strong>란 자신<strong>이</strong><br />

등용되지 않는 것을 알고 <strong>나</strong>면 원망하는 법<strong>이</strong>요, 불초<strong>한</strong> 자는 자<br />

기를 천히 여긴다는 것을 알고 <strong>나</strong>면 원수로 여기는 법<strong>이</strong>다. 어진<br />

<strong>이</strong>가 원망을 갖고 불초<strong>한</strong> 자가 원수로 여기면, 원망과 원수가 함<br />

께 <strong>나</strong>란히 앞을 가로막는 것과 같은데, 중항씨가 비록 망하지 않<br />

으려고 버틴들 그것<strong>이</strong> 가능하겠느냐?」<br />

( 子路問於孔子曰 : 「治國何如?」 孔子曰 : 「在於尊賢而賤不<br />

肖.」 子路曰 : 「笵, 中行氏尊賢而賤不肖, 其亡, 何也?」 曰 :<br />

「笵, 中行氏尊賢而不能用也, 賤不肖而不能去也 ; 賢者, 知其不己用<br />

而怨之, 不肖者, 知其賤己而讎之. 賢者怨之, 不肖者讎之 ; 怨讎並前,<br />

中行氏雖欲無亡, 得乎?」) 25)<br />

- 48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