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6.2013 Views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중 유교<strong>이</strong>념과 온전<strong>한</strong> 군신관계의 모습<strong>이</strong> 드러난 고사를 찾아 묶어<br />

≪說苑≫을 저술<strong>한</strong> 것<strong>이</strong>라 생각<strong>한</strong>다.<br />

(2). 文學的 背景<br />

문학적으로 漢代는 詩歌와 散文<strong>이</strong> 본격적으로 발달<strong>한</strong> 시기<strong>이</strong>다.<br />

시가에는 賦라는 <strong>한</strong>대 특유의 문학양식<strong>이</strong> 출현하였으며 司馬相如,<br />

班固등 作家라고 할 수 있는 지식인들<strong>이</strong> 상당수 등장<strong>한</strong>다. <strong>한</strong>대시가<br />

를 대표하는 樂府詩는 武帝가 설립<strong>한</strong> 관청인 樂府의 활동에서 비롯<br />

된 것<strong>이</strong>었다.<br />

시가와 더불어 <strong>한</strong>대는 산문의 발달도 두드러지는데 <strong>한</strong>대의 산문은<br />

형태적으로 前시기에 비해 세련되고 양적으로 풍부해졌다. 춘추시대<br />

의 歷史書와 諸子書의 산문적인 전통은 <strong>한</strong>대로 계승되었으며 漢의<br />

문화적 상황 속에서 독특하게 발전하였다.<br />

<strong>한</strong>대산문을 대표하는 저작으로는 역사서인 《史記》,《漢書》가 있<br />

다. <strong>이</strong> 밖에도 前漢의 散文으로는 司馬遷의 《史記》를 비롯하여 董<br />

仲舒의《春秋繁露》, 劉向의《新書》,《說苑》,《列女傳》등<strong>이</strong> 있다.<br />

후<strong>한</strong>의 산문 가운데는 漢王朝의 興亡盛衰의 과정을 다룬 중국 최초<br />

의 본격적 歷史書인 班固의 《漢書》가 주목할 만하다.<br />

儒學의 철학과 사상은 漢 武帝가 董仲舒의 의견을 받아들여 百家<br />

를 모두 내몰고 유학을 정통학술로 받든 뒤부터 정치제도<strong>나</strong> 사회<br />

풍속 등<strong>이</strong> 모두 六經을 근거로 형성되어 오랜 기간 사람들 가운데<br />

자리하고 있었으므로 하루아침에 그 뿌리가 뽑힐 수는 없었다.<br />

따라서 老莊의 학설<strong>이</strong> 비록 성행<strong>한</strong>다 하여도 당시 학자들은 여전<br />

히 孔子의 聖敎도 존중하였다. 2)<br />

- 7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