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6.2013 Views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그러므로 선비란 비록 총명하고 성지가 있다 해도 스스로는<br />

어리석음으로 지켜야 하고, 그 공<strong>이</strong> 천하를 덮을지라도 스스<br />

로는 양보로써 지키며, 勇力<strong>이</strong> 세상을 막을 수 있다 해도 스<br />

스로는 怯弱으로 지키고, 부가 천하를 다 가졌다 해도 染織으<br />

로 지켜야 <strong>한</strong>다.<br />

<strong>이</strong>렇게 하는 자는 가히 높<strong>이</strong> 있어도 위험하지 않고, 가득 차<br />

고도 넘치지 않을 것<strong>이</strong>라 말할 수 있다.<br />

( 高上尊賢, 無以驕人 : 聰明聖智, 無以窮人 ; 資給疾速, 無以先人 ;<br />

剛毅勇猛, 無以勝人. 不知則問, 不能則學. 雖智必質, 然後辨之 : 雖能<br />

必讓, 然後爲之 : 故士雖聰明聖智, 自守以愚 ; 功被天下, 自守以讓 :<br />

勇力距世, 自守以怯 : 富有天下, 自守以兼 ; 此所謂高而不危, 滿而不<br />

益者也. ) 55)<br />

<strong>이</strong>렇게 특정<strong>한</strong> 화자가 없기에 어떤 특정 시점에서 쓰여지기 보다<br />

오늘날의 도덕 교과서와 같은 모양으로 쓰여있다.<br />

<strong>이</strong> 예문에서는 백성을 교화하기 위<strong>한</strong> 의도가 엿보인다.<br />

第3節. 引用的 記述<br />

앞에서 누차 말하였듯 ≪說苑≫의 고사 대부분<strong>이</strong> 두 명 <strong>이</strong>상의<br />

대화 내지는 문답으로 서술되어 있다. 그러<strong>나</strong> 말하는 사람 <strong>이</strong>외의<br />

등장 인물<strong>이</strong> 없<strong>이</strong> 등장<strong>한</strong> <strong>한</strong> 사람만<strong>이</strong> 단독으로 <strong>이</strong>야기하는 형식을<br />

引用的 記述<strong>이</strong>라 <strong>이</strong>름하여 분류해 보았다. 총 850편 정도의 고사 가<br />

운데 40편 정도가 <strong>이</strong>런 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그중 가장 출현<strong>이</strong> 잦<br />

55) 上揭書 - 「10卷 敬愼 20章」P.437<br />

- 83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