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6.2013 Views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은 성품을 지녔기 때문에 안자처럼 재주 있는 자를 곁에 둘 수 있<br />

었을 것<strong>이</strong>다. 그리고 안자의 간언을 듣고 자기의 잘못을 뉘우치는<br />

모습을 통해 임금<strong>이</strong> 갖추어야할 성품과 임금으로의 자세를 볼 수<br />

있게 된다.<br />

≪說苑≫에서 劉向<strong>이</strong> 택<strong>한</strong> 임금의 고사들을 읽다보면 약간 당황스<br />

럽기도 하다. 임금으로 갖추어야 할 조건들<strong>이</strong> 매우 까다롭기 때문<strong>이</strong><br />

다. 왕으로서 백성을 향<strong>한</strong> 긍휼<strong>한</strong> 마음, 즉 부모의 마음<strong>이</strong> 있어야<br />

<strong>한</strong>다. 옛날 禹임금은 죄인을 보고 눈물을 흘리며 ‘백성의 죄지음은<br />

오직 <strong>나</strong> <strong>한</strong>사람 때문’<strong>이</strong>라고 말하였다 8) <strong>한</strong>다.<br />

儒敎의 기본 정신인 愛․忠․仁․孝 가운데 임금에게 해당하는 덕<br />

목은 仁과 愛<strong>이</strong>며 劉向<strong>이</strong> 더욱 강조하고 있는 왕으로의 성품은 愛<br />

인 것<strong>이</strong>다. 仁<strong>이</strong> 부족<strong>한</strong> 임금<strong>이</strong>라 하여도 좋은 신하를 만<strong>나</strong>면 <strong>이</strong>는<br />

채워지는 부분<strong>이</strong>지만 愛는 타고<strong>나</strong>는 성품<strong>이</strong>기에 신하들의 보필에도<br />

채워짐<strong>이</strong> 쉽지 않다. 훌륭<strong>한</strong> 임금은 덕과 은혜를 널리 베풀고도 백<br />

성에게 보답을 요구하지 않는다. <strong>이</strong>렇게 임금으로 신하의 쓴소리를<br />

달게 듣고 백성을 사랑으로 다스려야 <strong>한</strong>다. 그리고 국가의 권력<strong>이</strong>란<br />

임금에게 속해 있어야 <strong>한</strong>다는 것<strong>이</strong> 유향의 주장<strong>이</strong>다. 백성을 자식처<br />

럼 대하지만 백성<strong>이</strong> <strong>나</strong>라의 근본<strong>이</strong> 되는 것<strong>이</strong>지 <strong>나</strong>라의 주인<strong>이</strong> 되<br />

는것은 아니기 때문<strong>이</strong>다.<br />

어진 임금<strong>이</strong> 근심하는 가운데 있고 묘책은 현명<strong>한</strong> 신하들<strong>이</strong> 세운<br />

다. 다시 말해 宮 안에서만 근심하고 宮 밖의 백성은 부지런히 자신<br />

의 소임을 다하면 되는 것<strong>이</strong>다. <strong>이</strong>것<strong>이</strong> 유향<strong>이</strong> 그리고 있는 <strong>이</strong>상적<br />

인 治道의 모습<strong>이</strong>다.<br />

劉向은 사람을 알아보는 것은 임금의 일<strong>이</strong>며 일을 아는 것은 신하<br />

의 일<strong>이</strong>라고 분명하게 말하고 있다. 또 <strong>이</strong>것<strong>이</strong> 근본<strong>이</strong>고 어느 <strong>한</strong> 곳<br />

에서도 어긋<strong>나</strong>서는 안 된다고 말하고 있다. 仁厚로 백성을 대하는<br />

8) 林東錫 譯註, 1992, ≪說苑≫上․下 東文選 - 「 1卷 君道 9章」P.11<br />

- 22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