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6.2013 Views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strong>이</strong> 孝에 관<strong>한</strong> 고사는 우리에게 아주 익숙<strong>한</strong> 고사<strong>이</strong>다.<br />

3卷「建本」篇에서는 사람<strong>이</strong> 살아가면서 삶의 근본<strong>이</strong> 되는 것들에<br />

대해 말하였다. 근본<strong>이</strong> 바로 선 뒤에야 덕도 서는 것임을 말하고 있<br />

는데 근본을 바로 세우지 않으면 결국에는 근심에 쌓일 수밖에 없<br />

다고 말하고 있다.<br />

임금은 신하를 근본으로 삼고, 신하는 임금을 근본으로 삼는다. 또<br />

아버지는 아들을 근본으로 삼고, 아들은 아버지를 근본으로 삼아야<br />

할 것<strong>이</strong>다. 46) 다시 말해 <strong>이</strong> 것<strong>이</strong> 곧 忠<strong>이</strong>고 孝다.<br />

仁․愛․忠․孝는 유교<strong>이</strong>념의 기본<strong>이</strong> 된다 할 것<strong>이</strong>다. 仁은 임금과<br />

군자 모두가 갖추어야 할 성품<strong>이</strong>지만 愛는 특별히 임금에게 더욱<br />

강조되는 성품<strong>이</strong>다. 백성을 자식과 같<strong>이</strong> 애처롭고 가엽게 여기는 마<br />

음을 가지고 있어야 <strong>한</strong>다. 백성들의 가난함을 보고 자신의 잘못<strong>이</strong>라<br />

눈물을 흘렸다는 임금의 <strong>이</strong>야기 47)처럼 임금의 항상 백성들<strong>이</strong> 잘 살<br />

기를 관심하고 있어야 <strong>한</strong>다. <strong>이</strong>러<strong>한</strong> 정치를 왕도정치라 하며 劉向<strong>이</strong><br />

여러 고사를 통하여 <strong>이</strong>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br />

유교사상<strong>이</strong> 임금의 교화를 위해 仁과 愛란 덕목을 요구하였다면<br />

백성에게 있어 孝란 백성을 교화하기 위<strong>한</strong> 덕목<strong>이</strong>었으리라 사료된<br />

다.<br />

2). 董仲舒의 儒學 思想<br />

1. 天人感應論<br />

46) 上揭書 - 「 3卷 建本 4章 」P.99 중에서<br />

47) 上揭書 - 「 1卷 君道 9章 」P.11<br />

- 67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