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6.2013 Views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수가 가장 높은 경우를 골랐음을 미리 말해둔다.<br />

또, 각 고사에선 어떠<strong>한</strong> 사상<strong>이</strong> 밑바탕에 깔려있는가를 보고 ≪說<br />

苑≫의 사상을 잘 드러난 고사를 찾아 예를 들어 보려 <strong>한</strong>다.<br />

마지막으로 ≪說苑≫설원<strong>이</strong> 중국문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살펴<br />

보고 소설사적으로는 어떠<strong>한</strong>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 살펴보려 <strong>한</strong>다.<br />

第2節. 硏究 方法및 硏究範圍<br />

<strong>이</strong>전의 ≪說苑≫에 대<strong>한</strong> 연구는 매우 미미<strong>한</strong> 수준<strong>이</strong>다. 中國 文學<br />

史 魏晉南北朝 부분에서도 志怪小說과 志人小說 1)에 대해 설명하며<br />

書名만 짧게 언급되어 있을 뿐 자세<strong>한</strong> 설명을 찾기가 어려운 상황<br />

<strong>이</strong>다.<br />

그 외 학위 논문으로 林明花,〈≪說苑≫의 語法構造 硏究〉, 1998<br />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博士論文을 찾을 수 있지만 本稿에서 관심을<br />

갖고 분석하고자 하는 ≪說苑≫의 전체적인 내용<strong>이</strong><strong>나</strong> 체제에 대<strong>한</strong><br />

설명보다는 ≪說苑≫의 어법구조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다.<br />

다시 말해 ≪說苑≫자체의 내용<strong>이</strong><strong>나</strong> 체제에 대<strong>한</strong> 연구는 거의 성<br />

과가 없는 편<strong>이</strong>라 말 할 수 있다.<br />

하지만 846章에 달하는 고사들<strong>이</strong> 우리에게 매우 친숙하며 유교 윤<br />

리 <strong>이</strong>념을 간결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음에도 크게 알려진 바<br />

가 없음을 애석하게 생각하여, <strong>이</strong>를 각 卷마다 내용을 정리하였고<br />

1) 志人小說<strong>이</strong>란 명칭은 魯迅<strong>이</strong> 〈中國小說的歷史的變遷〉第 2講 〈六朝時之志<br />

怪與志人〉<strong>이</strong>라는 글에서 맨 처음 사용<strong>한</strong> 것으로 “志怪”와 상대적인 의미에<br />

서 만들어낸 신조어<strong>이</strong>다. 노신 <strong>이</strong>후 대부분의 중국문학사와 소설사에서 魏<br />

晉南北朝 소설을 분류할 때 <strong>이</strong> 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며, 일부 학자에 따라<br />

서는 軼事小說, 人物軼事小說, 淸言小說, 淸談小說 등으로 칭하기도 <strong>한</strong>다.<br />

김장환, 〈魏晉南北朝 志人小說 硏究〉,1992, 延世大學校 大學院 博士論文<br />

- 3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