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6.2013 Views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에 대<strong>한</strong> 권고의 역할을 하고 있다. 다시 말해 왕<strong>이</strong><strong>나</strong> 군주가 <strong>이</strong>를<br />

보고 정치를 함에 본보기로 삼아 德治를 베풀 것을 기대했다고 볼<br />

수 있겠다.<br />

第2節. 文學的 價値<br />

≪說苑≫은 先秦 <strong>이</strong>전부터 漢初까지의 다양<strong>한</strong> <strong>이</strong>야기를 싣고 있<br />

는데, 대부분의 문장<strong>이</strong> 대화체로 <strong>이</strong>루어져 있어 당시 口語가 상당히<br />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說苑≫은 또 문학적인 면에서도 그 성취가<br />

상당하여 屈守元은 ≪說苑≫의 일부분<strong>이</strong> 중국 고유의 고대 설화 형<br />

식을 갖추고 있어 중국 고대 소설의 발전, 변화를 탐색함에 있어 상<br />

당히 좋은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하였다.<br />

또 앞서 말<strong>한</strong> 대로 설원은 유가의 정치 사상과 윤리관념을 천명하<br />

기 위해 지은 것으로 선진 시대부터 <strong>한</strong> 대까지의 고사를 내용에 따<br />

라 분류하여 각 권의 제목 아래 분류 편집<strong>한</strong> 것<strong>이</strong>다. 대부분 실존하<br />

는 인물의 언행<strong>이</strong><strong>나</strong> 어떤 사실에 대해 기록하고 있지만 그 고사에<br />

서는 志人 小說的인 요소도 보<strong>이</strong>고 있다.<br />

師經<strong>이</strong> 거문고를 연주하자 魏文侯가 일어<strong>나</strong> 부를 지어 말하길 :<br />

“만일 내가 말하는 것을 어기면 가만 두지 않으리.” 하자 사경<strong>이</strong> <strong>이</strong><br />

말을 듣고 거문고를 들어 文侯를 쳤는데 몸에는 맞지 않고 면류관<br />

에 맞아 옥구슬<strong>이</strong> 부수어졌다. 文侯가 좌우 신하들에게 묻길 : “신하<br />

된 자가 그 임금을 내리치면 그 죄는 어떠<strong>한</strong>가?” 하자, 신하들<strong>이</strong> 아<br />

뢰길 : “그 죄는 마땅히 烹形에 처해야 하옵니다.” 라고 하였다. 사<br />

경을 끌고 公堂의 계단 하<strong>나</strong>를 내려갔을 때 사경<strong>이</strong> 말하길 : “신<strong>이</strong><br />

<strong>한</strong> 마디 말씀만 올린 뒤에 죽어도 괜찮겠습니까?” 하자, 文侯가 말<br />

- 93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