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6.2013 Views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strong>이</strong>어받아 <strong>이</strong>를 구현하기 위해 노력해야 <strong>한</strong>다고 주장하였는데 <strong>이</strong>는<br />

정치적으로 德治에 힘쓰는 것을 말<strong>한</strong>다. 劉向도 董仲舒에게 영향을<br />

받아 같은 주장을 하고 있다.<br />

왕은 하늘의 뜻을 <strong>이</strong>어받고 그 뜻을 잘 지켜 德治를 행해야 하는<br />

데 만약 하늘의 뜻을 거스르면 하늘은 노하여 재난과 <strong>이</strong>변을 일으<br />

킨다. 왕 德治를 하기 위해서는 주변에 어진 사람을 두어야 하고<br />

어진 사람을 부리기 위해서는 합당<strong>한</strong> 대우를 해주어야 <strong>한</strong>다. 즉 辰<br />

賞受罰<strong>이</strong> 정확해야 <strong>한</strong>다.<br />

신하는 녹을 받는 만큼 일을 해야하고 임금에게 諫하기를 두려워<br />

말아야 <strong>한</strong>다. 또<strong>한</strong> 임금을 부모처럼 모셔야 <strong>한</strong>다. 사람을 알아보는<br />

것<strong>이</strong> 임금의 일<strong>이</strong>라면 일을 알아보는 것은 신하의 도리인 것<strong>이</strong>다.<br />

≪說苑≫의 고사들은 혼란<strong>한</strong> 시대적 상황을 직설적으로 비판하기<br />

보다 과거 역사 고사를 통해 빗대어 표현 <strong>한</strong> 것<strong>이</strong>라 생각된다. 또<strong>한</strong><br />

직접적인 독자층<strong>이</strong> 식자층<strong>이</strong>었음으로 위로는 임금과 위정자들에게<br />

아래로 서생에 <strong>이</strong>르기까지 전역에 읽혀 온 임금과 백성<strong>이</strong> 유학의<br />

윤리와 사상을 회복하고자 하는 의도가 배어있는 것으로 보인다.<br />

≪說苑≫에는 단순하게 흘리기엔 아까운 교훈적인 내용<strong>이</strong> 많<strong>이</strong> 실<br />

려있는데 결국 <strong>이</strong>러<strong>한</strong> 예를 제시하여 정치에 대해 우회적으로 비판<br />

하고 왕에 대<strong>한</strong> 권고의 역할을 하고 있다. 다시 말해 왕<strong>이</strong><strong>나</strong> 군주가<br />

<strong>이</strong>를 보고 정치를 함에 본보기로 삼아 德治를 베풀 것을 기대했다<br />

고 볼 수 있겠다.<br />

≪說苑≫의 등장 고사는 先秦 <strong>이</strong>전부터 漢初까지의 다양<strong>한</strong> <strong>이</strong>야기<br />

가 실려 있는데, 대부분 문장<strong>이</strong> 대화체로 <strong>이</strong>루어져 있어 당시 구어<br />

가 상당히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說苑≫은 또 문학적인 면에서도<br />

그 성취가 상당하여 屈守元은 ≪說苑≫의 일부분<strong>이</strong> 중국 고유의 고<br />

대 설화 형식을 갖추고 있어 중국 고대 소설의 발전, 변화를 탐색함<br />

- 97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