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6.2013 Views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왕의 정치와 삶의 모습<strong>이</strong> 어떻게 바뀌는 가를 더욱 강조<strong>한</strong> 고사<strong>이</strong><br />

다. 管仲과 隰朋<strong>이</strong> 죽은 후 桓公<strong>이</strong> 가까<strong>이</strong> 했던 豎刁는 스스로 거세<br />

하여 임금을 가까<strong>이</strong> 하였던 신하<strong>이</strong>며 易牙는 환공의 요리담당 신하<br />

로 환공<strong>이</strong> 사람고기를 먹어보지 못하였다고 하자 자신의 아들을 삶<br />

아 바쳤다고 <strong>한</strong>다. <strong>이</strong>들은 임금의 당시의 기분을 맞춰주고 잠시만<br />

기쁘게 해준 아첨하는 신하들<strong>이</strong>다. 그리고 <strong>이</strong>들<strong>이</strong> <strong>한</strong> 행동은 모두<br />

仁<strong>이</strong> 아닌 것<strong>이</strong>다. 임금에게 자신의 아들을 삶아 바친 것<strong>이</strong> 어찌 충<br />

성<strong>이</strong>라 할 수 있겠는가? <strong>이</strong>런 거짓된 충성으론 임금을 바로 세울<br />

수 없다. 훌륭<strong>한</strong> 선비를 알아보고 곁에 두는 것도 왕으로써 갖추어<br />

야할 조건<strong>이</strong> 아닐 수 없다. 몸에 좋은 약<strong>이</strong> 입에 쓴 법인데 기분<strong>이</strong><br />

상하였다고 해서 자기 행실에 대해 전혀 반성도 않고 오히려 諫言<br />

<strong>한</strong> 신하를 죽여 버렸다. <strong>이</strong>러<strong>한</strong> 왕은 훌륭<strong>한</strong> 왕<strong>이</strong>라 할 수 없다.<br />

훌륭<strong>한</strong> 임금<strong>이</strong> <strong>나</strong>라를 다스렸을 때는 <strong>나</strong>라 안에서 고민<strong>이</strong>란 宮室<br />

안에서만 행해지고 천하의 다스려지는 모습을 <strong>한</strong>눈에 알 수 있었다.<br />

임금 자신의 행실에 반성을 통해 모든 것을 알 수 있었기 때문<strong>이</strong>다.<br />

<strong>이</strong>것<strong>이</strong> 근본<strong>이</strong>다.<br />

≪說苑≫의 고사 가운데에는 董仲舒의 天人感應論에 입각<strong>한</strong> 고사<br />

들<strong>이</strong> 매우 많<strong>이</strong> 등장<strong>한</strong>다. 우리가 잘 아는 속담으로 ‘하늘은 스스로<br />

돕는 자를 돕는다.’ 라는 속담<strong>이</strong> 있다. 왕으로서 <strong>한</strong> <strong>나</strong>라를 잘 다스<br />

릴 때 하늘도 祥瑞와 災異로 應하는 것<strong>이</strong>다.<br />

初<strong>나</strong>라 莊王<strong>이</strong> 하늘에는 더 <strong>이</strong>상 요괴의 징조가 보<strong>이</strong>지 않고 땅에<br />

서도 더 <strong>이</strong>상 妖孼의 흉조가 보<strong>이</strong>지 않자, <strong>이</strong>에 산천에 제사를 지<br />

내며 <strong>이</strong>렇게 기도하였다. <strong>이</strong> 뜻은 하늘<strong>이</strong> 자신의 과실을 능히 찾<br />

아내어 주기를 간구하는 것<strong>이</strong>다. <strong>이</strong>에 그는 諫言하는 말을 거역하<br />

지 않으며 편안할 때에 위험을 잊지 않겠다는 맹세하였다. <strong>이</strong> 까<br />

닭으로 그는 마침내 패업을 성취시킬 수 있었던 것<strong>이</strong>다. (楚莊王<br />

- 27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