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6.2013 Views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예문에서도 말하고 있듯 좋은 신하는 임금의 의를 드러내고 임금<br />

<strong>이</strong> 德治를 할 수 있게끔 돕고 임금<strong>이</strong> 바른 길에 서지 않을 때는 죽<br />

음을 무릅쓰고라도 諫言하는 신하를 말<strong>한</strong>다. 신하된 자들은 곧 선비<br />

<strong>이</strong>기도 하다. <strong>이</strong>들은 항상 道, 德, 仁, 義에 근거하여 의를 알아 자신<br />

의 마음을 잃지 않고 일에 공을 세우되 그 상을 독점하지 않으며,<br />

정치에는 충실하고 간언에는 강경하여 간사함<strong>이</strong> 없어야 <strong>한</strong>다. 또 사<br />

보다는 공을 앞세우고 언어에는 법도가 있어야 <strong>한</strong>다. 앞서 말<strong>한</strong> 道,<br />

德, 仁, 義가 바르게 사는것<strong>이</strong> 곧 천하가 바르게 되는 것<strong>이</strong>다.<br />

<strong>이</strong>를 갖춘 신하는 왕도 함부로 신하로 여길 수 없는 신하들<strong>이</strong>다. 13)<br />

그리고 어진 사람을 알아보고 왕에게 천거하는 자라면 더 <strong>이</strong>상 훌<br />

륭<strong>한</strong> 신하는 없을 것<strong>이</strong>다.<br />

(3). ≪說苑≫속의 君子 形象<br />

임금은 신하로 근본을 삼고 신하는 그 임금을 근본으로 삼으며<br />

아버지는 아들을 근본으로 삼고 아들은 아버지를 근본으로 삼는다<br />

면 <strong>이</strong> <strong>나</strong>라는 근본<strong>이</strong> 바로 선 매우 훌륭<strong>한</strong> <strong>나</strong>라라 할 것<strong>이</strong>다. <strong>이</strong>러<br />

<strong>한</strong> 근본을 버리면 榮華도 시들고 말 것<strong>이</strong>다.<br />

아버지로서의 도리는 聖<strong>이</strong>고 , 자식된 도리는 仁, 임금의 도는 義,<br />

신하의 도는 忠<strong>이</strong>다.<br />

<strong>이</strong> 도리를 지키며 사는 자를 군자라 할 것<strong>이</strong>다. 자식된 자로 仁과<br />

孝를 다하는 자면 그는 군자인 것<strong>이</strong>다.<br />

13) 上揭書 - 「 2卷 臣術 2章 」<br />

- 33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