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6.2013 Views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劉向의《說苑》硏究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中國語敎育專攻 이 한 나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strong>나</strong> 武帝때에 <strong>이</strong>르면 황제 주변의 사물을 화려하게 묘사하기에만 힘<br />

쓰는 散體의 長賦가 유행하게 된다. 대표작가인 司馬相如를 비롯<strong>한</strong><br />

賦 作家들은 황제를 따라다니다가 황제의 기분에 따라 부를 지어<br />

올려 황제를 기쁘게 하는 자들<strong>이</strong>었다. 따라서 당시의 문인들은 배우<br />

같<strong>이</strong> 글 짓는 재주로 황제를 즐겁게 하는 자들<strong>이</strong>어서 황제의 분위<br />

기와 맞는 화려<strong>한</strong> 長賦가 유행하였다.<br />

<strong>이</strong>는 후에 <strong>나</strong>타날 唯美主義的 문학풍조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br />

漢代 <strong>이</strong>전의 散文은 상소문 중심<strong>이</strong>었으<strong>나</strong> <strong>한</strong>대에 들어서면서 상소<br />

문을 중심으로 <strong>한</strong> 政論文과 전국시대의 역사적 산문을 계승<strong>한</strong> 史專<br />

文의 두 갈래로 크게 발달<strong>한</strong>다. 당시의 사전문은 옛 사람의 逸事를<br />

엮어놓은 책<strong>이</strong>지만 <strong>한</strong>대 산문의 발달을 <strong>이</strong>해하기에 없어서는 안 될<br />

중요<strong>한</strong> 저서들<strong>이</strong>다.<br />

劉向의 ≪說苑≫ 역시 사전문에 속<strong>한</strong>다. 漢代 散文의 대표적 저서<br />

로 司馬遷의 《史記》를 꼽는다. 사마천은 성기를 잘리는 宮刑을 받<br />

게 되고 치욕적인 궁형을 받은 후 《史記》의 저술에만 힘써 130篇<br />

에 달하는 불후의 대작을 <strong>이</strong>룩할 수 있었다. <strong>이</strong>는 사마천의 강<strong>한</strong> 신<br />

념<strong>이</strong> 역사 기록에 강<strong>한</strong> 개성을 불어넣고 있어 역사서로의 객관성은<br />

결여되지만 감동과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생동하는 듯<strong>한</strong> 문장을 <strong>이</strong><br />

루고 있다. 《史記》를 紀傳體라 말하는데 《史記》가 중국문학사상<br />

큰 의의를 지니게 된 것은 本紀<strong>나</strong> 列傳<strong>이</strong> 모두 인물의 기록<strong>이</strong>기 때<br />

문에 후세 전기 문학의 본<strong>이</strong> 되었기 때문<strong>이</strong>다. 사마천의 개성적인<br />

문장<strong>이</strong><strong>나</strong> 희극적<strong>이</strong>고 생동하는 듯<strong>한</strong> 표현 방법은 후세 산문은 말할<br />

것도 없고 소설과 희곡 발달에 <strong>이</strong>르기까지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br />

그러<strong>나</strong> 漢의 모든 문학 작품은 말엽으로 갈수록 더욱 변려체에 가<br />

까워지는 경향을 보<strong>이</strong>게 된다. 그들 중에 자기의 사상과 정론 등을<br />

쓴, 수사보다 뜻의 표현<strong>이</strong><strong>나</strong> 윤리에 힘을 기울였던 저술들도 많<strong>이</strong><br />

<strong>나</strong>왔으<strong>나</strong> <strong>이</strong>것들도 역시 대구가 많고 문장<strong>이</strong> 정제하다.<br />

- 9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