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2.2013 View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자기들에게 쓰이도록 확보할 수 있다.<br />

어느 쪽이건 그들은 중위 투표자나 정치가가 늘 원할 규모와 정<br />

도를 넘어 어떻게든 스스로를 팽창시킨다고 니스캐넌은 말한다. 관<br />

료들은 돈을 절약하는 데 개인적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br />

새로운 작업 흐름과 사회 프로그램을 고안해 낼 온갖 유인을 가지<br />

고 있다. 그리고 설사 관료적 비용이 정치가들이 원래 기대했던 것<br />

을 훨씬 넘어 단계적으로 상승한다 할지라도 정치가들은 자기들이<br />

공약한 정책에 대해 태도를 바꾸기 어렵다는 것을 관료들은 알고<br />

있다. 이것은 다시 입법부에 대한 상당한 교섭 능력을 관료제에게<br />

부여한다.<br />

관료들은 또한 중요한 일선 서비스를 줄이겠다고 위협하여 예산<br />

삭감에 저항할 수도 있다. 고든 털럭은 미국에서 일선 세관 감독관<br />

을 모조리 해고했지만 그 국의 어떤 다른 부서에 있는 공무원은 한<br />

사람도 해고하지 않고 예산 삭감에 대응한 연방 관세청(Federal<br />

Customs Service)을 예로 들었다.<br />

<br />

법률이 대체로 모호하다는 사실은 관료제에게 많은 재량적 권력<br />

을 준다. 몇몇 공공선택 학자들은 정치가들이 그런 방식을 좋아한<br />

다고 암시한다. 정치적 반대자들이 집권하면 그저 뒤집기만 하면<br />

되는 상세한 법률들을 통과시키기보다는 그들은 모호한 법률들을<br />

제9장 관료들에게 동기 부여하기 119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