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2.2013 View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약간의 사업들은 우리가 혼자서 할 수 없다. 만약 우리가 그 일과<br />

비용을―그리고 누구나 다 그것을 가치 있게 생각하도록 편익도―<br />

같이 나누도록 다른 사람들을 채용할 수 있다면 문제가 없다. 예를<br />

들어, 어느 도시 가정이 해안에 휴가용 별장을 공급하고 유지할 수<br />

없을지 모른다. 그러나 만약 그런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과 함께 비<br />

용을 대고, 한 가정은 집을 장식하겠다고, 다른 가정은 집에 가구를<br />

비치하겠다고, 또 다른 가정은 잔디와 정원을 손질하겠다고, 또 다<br />

른 가정은 집에 식량을 채워 놓겠다고 자청하면, 그것은 그들 모두<br />

가 누릴 수 있는 실현성 있는 사업이 된다.<br />

문제는 ‘공공재(public goods)’―여기서는 다른 사람들이 그 노<br />

력에 대해 아무런 기여를 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편익을 공유할 수<br />

있다―에 있는데, 왜냐하면 다른 사람들의 노동의 과실을 공짜로<br />

누릴 수 있을 때 누구도 기여할 유인이 없기 때문이다.<br />

데이비드 흄에 의해 인용된 공공재의 예들은 항만을 준설하고 군<br />

대를 육성하는 것이었다. 누구나 다 상업 증진이나 안보 향상으로<br />

편익을 얻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똑같은 편익을 얻게 될 때 왜<br />

48 <strong>공공선택론</strong> <strong>입문</strong>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