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2.2013 View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뷰캐넌과 털럭은 협력해서 <strong>공공선택론</strong>의 ‘버지니아학파(Virginia<br />

School)’로 알려지게 된 것을 창설했는데, 이것은 헌법 이론과 현실<br />

세계 정치 제도들에 관심을 집중한다. 또한 그 주제에 통계학과 수<br />

리 기법을 적용하는 ‘로체스터학파(Rochester School)’도 있고, 집<br />

합적 의사 결정의 순수 경제 이론에 더욱 집중하는 ‘시카고학파<br />

(Chicago School)’도 있다.<br />

뷰캐넌이 <strong>공공선택론</strong>의 연구로 1986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br />

을 때, 많은 사람들은 왜 털럭이 공동 수상하지 않았는지 의문을 가<br />

졌다. 그 이유가 무엇이건, <strong>공공선택론</strong>에 대한 털럭 자신의 공헌은<br />

매우 현저하다. 예를 들면, 그는 ‘지대 추구(rent seeking)’―이익 집<br />

단들이 독점권과 특권을 얻기 위해 정치적 과정을 사용하는 광범위<br />

하지만 낭비적인 활동―의 문제(아래를 보라)에 중요한 독창적인<br />

공헌을 했다.<br />

<br />

1965년의 책 집합적 행동의 논리(The Logic <strong>of</strong> Collective Action)<br />

에서 미국 경제학자 맨서 올슨(Mancur Olson)도 역시 특수 이익 집<br />

단이 정치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다. 로비 집단들이 존재한<br />

다는 사실은 매우 분명하다. 그러나 올슨은 효과적인 로비 운동에<br />

40 <strong>공공선택론</strong> <strong>입문</strong>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