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2.2013 View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는 사람들(예를 들어 가구주들)인 것은 아니다. 또한 시장에서는 거<br />

래의 양 당사자가 거래에 동의해야 한다―만약 구매자든 판매자든<br />

어느 한 쪽이 만족하지 못하면, 그는 거래에서 손을 뗄 수 있다. 대<br />

조적으로 정치에서는 소수파가 손을 뗄 수 없다. 그들은 다수파의<br />

결정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고 집합적 선택이 요구하는 무슨 희<br />

생이든 참지 않을 수 없다.<br />

유감스럽게도 그로 인해서 자기 이익을 추구하는 다수파는 다른<br />

사람들에게 재정적 혹은 기타 부담을 부과하면서 공적 편익을 자기<br />

들이 누리도록 표로 결정함으로써 소수파를 착취하는 것이 완전히<br />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로 사용자들은 새로운 하이웨이를 원<br />

할지 모르지만, 그 하이웨이는 그것을 결코 사용하지도 그것에서<br />

편익을 얻지 못할지도 모르는 다른 사람들의 정원을 관통하거나 그<br />

사람들의 세금을 올릴 것이다. 그러한 정부 결정들이 어떻게 내려<br />

지는지 연구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만드는 것은 정부가 소수파에<br />

게 다수파 결정을 따르지 않을 수 없게 하는 데 강제를 사용할 수 있<br />

다는 사실이다. 그것은 다수파가 책임 있게 행사하는 것이 당연할<br />

―그러나 다수파가 또한 표로써 자기들이 편익을 누리도록 결정하<br />

고 다른 사람들에게 비용을 떠넘기는 데도 사용할 수 있는―권력을<br />

다수파에게 준다.<br />

1) 물론 그러한 경제적 행동의 ‘외부’ 혹은 ‘사회적’ 비용과 편익이 존재한다. 그러<br />

나 이러한 것은 대부분의 거래들의 총 비용과 편익의 사소한 면이 되는 경향이<br />

있다. 그것이 큰 곳에서는 정부가 종종 개입을 시도한다. 그러나 곧 명백해지겠<br />

지만 공공선택 경제학의 중요한 주제는 그러한 정부 행동 역시 외부 비용과 편<br />

익을 가진다는 점이다.<br />

제1장 <strong>공공선택론</strong>이란 무엇인가? 23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