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2.2013 View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호사들은 자기들의 숫자를 제한하고 자기들의 수임료를 올리며 일<br />

이 ‘무자격’ 경쟁자들에게 돌아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면허 제도로<br />

부터 모두 이익을 얻는다.<br />

<br />

비록 소규모 집단이 조직하기는 더 쉽지만, 정치적 토론에서는<br />

어떤 임계 질량을 가지는 것이 여전히 도움이 된다. 그러나 대의 민<br />

주 국가에서는 많은 수량이 필요하지는 않다. 뷰캐넌과 털럭은 대<br />

규모 선거민의 1/4을 약간 웃도는 투표자들을 집합시킬 수 있는 집<br />

단이 무관심하고 조직되지 않은 다수파를 지배할 수 있을 것이라고<br />

추정하였다. 예를 들어, 각 선거구당 10,000명의 유권자들을 가지<br />

고 있는 100개의 선거구들이 있는 어느 나라를 상상해 보자. 입법<br />

부에서 지배적 다수를 가지기 위해서는 정당이나 이익 집단은 의석<br />

의 단순 과반수―51―에서 투표자들의 그저 단순 과반수―5,001―<br />

를 얻기만 하면 된다. 비록 선거민이 1,000,000명이라 하더라도, 승<br />

리를 위해 단지 255,051명의 투표자들만 필요하다.<br />

물론 대부분의 이익 집단들은 그렇게 많은 구성원들을 가지지 않<br />

고, 자기들이 필요로 하는 표를 그렇게 정밀하게 추정할 수도 없다.<br />

그러나 만약 대부분의 선거인들이 투표하려고 애쓰지 않거나, 만약<br />

그들의 표가 균등하게 쪼개진다면, 심지어 더 작은 소수파도 결과<br />

를 좌우할 수 있다.<br />

제5장 소수파의 횡포 77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