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2.2013 View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관계를 강하게 비판하였다.<br />

<br />

흄과 스미스가 정치 과정의 작동에 관해 제기한 질문들은 오늘날<br />

공공선택 이론에 여전히 중심적이다. 그러나 현대 <strong>공공선택론</strong>의 더<br />

욱 직접적인 기원은 두 명의 18세기 프랑스 수학자들이 가졌던 투<br />

표와 선거의 역학에 관한 생각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br />

1785년에 콩도르세(Condorcet) 후작은 순환(cycle)의 문제에 주<br />

목했다. 이 개념을 예로 설명하기 위하여, 지역 사회가 세 정책 대안<br />

들 혹은 선거 후보들 사이에 결정하는 데 과반수 규칙을 사용한다<br />

고 가정하고 그것들을 가위, 바위, 보라고 부르자. 현대 게임에서와<br />

같이, 둘 사이의 투표에서 바위가 보에 지고, 보가 가위에 지지만,<br />

가위가 바위에 지는 일이 완전히 가능하다. 그렇다면 어느 것이 정<br />

당한 승리자일까? 모든 다른 것들을 이기는 명백한 대안이 없다. 상<br />

이한 짝들이 투표에 회부됨에 따라, 한 승리자에서 다른 승리자로,<br />

또 다른 승리자로 순환할 것이다.<br />

1781년에 장샤를 드 보르다(Jean-Charles de Borda)도 역시 선<br />

거의 본질―특히, 설사 약간의 투표자들이 쟁점에 관해 매우 강렬<br />

하게 느낀다 할지라도 그들은 대개 무관심한 투표자들과 꼭 같이<br />

여전히 오직 한 표만 얻는다는 문제―에 관해 깊이 생각했다. 그<br />

는 대신 사람들이 대안들이나 후보들을 등급화하고 그 다음 그들<br />

제2장 <strong>공공선택론</strong>-서지학 35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