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2.2013 View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기 자신의 선호가 지배하도록 확보할 것이다. 정당들은 진정한 선<br />

택을 제시하는 대신 중앙으로 수렴할 것이다. 로비스트는 정치가에<br />

게서 특혜를 얻는 데 막대한 자원을 쓸 것이다. 그리고 관료는 자기<br />

자신의 보금자리를 깃털로 덮을 것이다.<br />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공공선택 이론가들은 더욱 낙관적이었<br />

다. 194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면 조지프 슘페터(Joseph A. Schumpeter)는<br />

표를 얻기 위한 경쟁이 사실상 시장 경쟁의 ‘보이지 않는<br />

손’처럼 상당히 유리한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더<br />

욱 최근에는 피터 코플린(Peter Coughlin)과 시무엘 닛전(Shmuel<br />

Nitzan) 같은 몇몇은 정당들이 자기들 자신의 것으로 주장할 수 있<br />

는 광범위한 쟁점들이 존재할 때 ‘순환’ 수렁의 가능성이 훨씬 덜하<br />

다고 지적했다. 에드워드 클라크(Edward H. Clarke)와 시어도어 그<br />

로브스(Theodore Groves) 같은 다른 사람들은 투표자들이 이기적<br />

이고 전략적으로 투표하기보다 자기들의 진정한 선호를 나타내고<br />

자기들의 수요가 다른 사람들에게 부과할 비용을 고려할 마음이 들<br />

지 모를 상이한 방식들을 탐구했다.<br />

실제적 검증은 낙관론을 증가시켰다. 예를 들어, 몇몇 학자들은<br />

지금 관료들과 그들의 예산들이 사실상 니스캐넌이 두려워했던 것<br />

보다 훨씬 더 낫게 통제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정당들은 끊<br />

임없이 중위 투표자 주위를 윙윙 날아다니기보다 사실상 인플레이<br />

션과 실업 같은 중요한 쟁점들에서 현저하게 그리고 장기적으로 정<br />

말 갈라진다.<br />

44 <strong>공공선택론</strong> <strong>입문</strong>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