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2.2013 View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들을 설명하면서 이러한 문제들을 많이 탐구했다. 그 후, 경제학자<br />

들은 그러한 질문들에 더욱 정교한 게임 이론을 적용하여 흥미로운<br />

결과들을 얻었다.<br />

<br />

물론 주요 질문들은 어느 정당들이 연합을 형성할 것 같고 얼마<br />

나 오래 연합이 지속될 것 같으냐 이다. 최적 전략은 부적합한 때에<br />

상이한 이익 집단들이 대열에서 벗어날지 모를 광범위한 연합을 가<br />

지기보다는 불안정할 정도로 크지 않으면서 의제를 지배할 만큼 큰<br />

최소 승리 연합(minimum winning coalition)을 구성하는 것이 되어<br />

야 한다고 라이커는 결론 내렸다.<br />

이 이론은 어떤 다른 이론만큼 그럴 듯해 보이지만, 현실은 그것<br />

이 다당제 유럽 국가들에서 전후( 戰 後 ) 정부들의 반도 설명하지 못<br />

한다는 점이다. 그것은 또한 유럽과 그 밖의 지역에서 종종 생기는<br />

소수파 정부들의 존재도 설명하지 못한다. 그러한 것들에 대해서는<br />

네덜란드 사회 과학자이자 연합 전문가인 피터 반 루젠달(Peter van<br />

Roozendaal)이 더 나은 설명을 가지고 있을지 모른다. 그의 견해로<br />

는 작은 정당들이 정치적 스펙트럼의 반대 쪽 끝에 있는 다른 작은<br />

정당들과 동맹을 맺기보다는 중심 정당들과 동맹을 맺는 것이 더<br />

쉽다. 그래서 큰 중심 정당은 어떤 연합에서건 추축적 지위(pivotal<br />

position)를 가질 것이다. 그런 지배를 고려하면, 그것은 독자적으로<br />

제5장 소수파의 횡포 79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