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2.2013 View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던 것보다 상당히 더 잘 반영하는 집합적 결정들을 낳음을 암시하<br />

였다. 이것은 시장에서의 경쟁과 같이 정당들 사이의 경쟁으로 정<br />

당들이 자기들 자신의 위치를 수정하여 사실상 대부분의 공중에게<br />

매력적인 정책 강령을 생산하게 되기 때문이다.<br />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세계 정치 제도들은 정부를 형성하는<br />

것이 상이한 정당들의 연합을 만드는 것에 달려 있는 다당제들이<br />

다. 그래서 로체스터학파가 이끈 ‘제2세대’ 관심은 정당들이 어떻<br />

게 연합을 형성하고 그러한 연합들이 얼마나 오래 지속될 것 같은<br />

가에 더욱 집중되었다. 이로 인해 윌리엄 H. 라이커의 최소 승리<br />

연합(minimum winning coalition) 개념이 생겼고, 후속적으로 대<br />

규모 중심 정당이, 어떤 연합에든 필수적이므로, 소수파 정부를 형<br />

성하기로 선택하여 공식적인 파트너십보다 사안별 투표 협정에 의<br />

존할 수 있고 종종 정말 의존한다는 명제가 생겼다.<br />

더욱 최근에는 로저 콩글턴(Roger Congleton)이 자기의 책 의<br />

회의 완성(Perfecting Parliament)에서 6개 주요 국가들에서의 입<br />

법부의 역사를 추적하여, 선거 및 입법 규칙들의 발전을 결정하는<br />

데 자기 이익, 사회적 견해, 종교 그리고 제도․권위․관계의 기존<br />

상태가 중요함을 설명하고 있다. 명백히, 대부분의 국가들은 뷰캐<br />

넌과 털럭이 제안한 합리적 종류의 헌법적 장치들과는 아주 거리<br />

가 멀다.<br />

150 <strong>공공선택론</strong> <strong>입문</strong>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