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2.2013 View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1980 양당 제도는 약간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공중의 선호들을 더<br />

잘 반영한다―정치에 작용하는 일종의 ‘보이지 않는 손’―고 많은<br />

경제학 논문들이 암시한다.<br />

1986 제임스 뷰캐넌이 경제적 및 정치적 의사 결정의 헌법적 근거에 관한<br />

연구로 노벨상을 수상한다.<br />

1987 어떤 종류의 헌법이 일반적 합의를 얻을지 탐구하면서, 노먼 프롤리<br />

히(Norman Frohlich), 조 A. 오펜하이머(Joe A. Oppenheimer) 그리<br />

고 체릴 L. 이비(Cheryl L. Eavey)는―사람들이 높은 최저치를 선호<br />

할 것이라는 존 롤스의 추측과는 반대로―학생들이 사회적 최저치<br />

를 설정하지만 평균 소득이 극대화될 수 있는 헌법에 찬성 투표할<br />

것임을 발견한다.<br />

1990 피터 반 루젠달(Peter van Roozendaal)은 중도 정당이 왼쪽과 오른<br />

쪽에 있는 다른 정당들에 의존함으로써 어떻게 소수파 정부를 형성<br />

할 수 있을지 설명한다.<br />

2000s 정치적 선택들에 관해 추가적 실험과 수학적 모형 구성이 이루어지<br />

며, 공공선택 아이디어들이 많은 나라들에 확대된다.<br />

2002 버넌 L. 스미스가 집합적 선택에 관한 것을 포함하는 실험 연구로<br />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다.<br />

2007 브라이언 캐플런(Bryan Caplan)의 합리적 투표자에 대한 미신<br />

(The Myth <strong>of</strong> the Rational Voter)은 투표자들이 민주주의 과정에<br />

서 치명적인 결함을 낳는 비합리적 편향들(일자리 만들기 계획, 외<br />

국인 반대, 비관주의, 반[ 反 ]시장)을 보인다고 주장한다.<br />

<strong>공공선택론</strong>의 시간표 167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