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2.2013 View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른다.<br />

기관들의 비용은 아마도 자기들이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정<br />

액 교부금(block grant)을 수단으로 지불되기보다는 자기들이 달성<br />

하는 결과에 따라서 지불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측정하<br />

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규정하기도 어려운 산출물들에 가격을 붙<br />

이려고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심지어 기관들을 민간 제공자들에<br />

대항해서 경쟁하게 한다는 아이디어조차도 문제가 된다. 계약들을<br />

심사해서 부여하는 데는 어떤 다른 공공 기관을 필요로 하는데, 경<br />

험은 공공 기관이 그러한 처리에 매우 능숙하지 못하다는 점을 보<br />

여준다.<br />

<br />

그러나 니스캐넌의 상당히 비관적인 관료제 견해는 게임 이론과<br />

같은 새로운 기법들과 더 많은 최근의 질의에 시달리게 되었다.<br />

몇몇 현대 공공선택 학자들은 정치가들이 사실상 관료들을 통제<br />

하는 상당한 권력을 정말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예산 삭<br />

감과 전문적 제재를 통해 그들을 처벌할 수 있다. 그들은 조사로 그<br />

들을 괴롭힐 수 있다. 만약 관료적 무능이나 부적절이 드러나면, 그<br />

들은 공개적으로 폭로하고 모욕을 가하겠다고 위협할 수 있다. 그<br />

저 몇 명만 처벌하는 것으로도 다른 사람들을 억제하는 데 충분할<br />

지 모른다. 그들은 자기들의 정당한 지시 사항을 어기는 기관들을<br />

122 <strong>공공선택론</strong> <strong>입문</strong>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