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2.2013 View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소수파가 그들의 투표 영향력과 그리하여 대의 체제에 대한 그들<br />

의 지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은 다른 소수파들과―널<br />

리 그들과 입장을 공유하는 사람들과, 혹은 자기들 자신의 것에 대<br />

한 지지의 대가로 그들의 대의를 지지할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들<br />

과―연합을 형성하는 것이다.<br />

이 연합 형성이 정확하게 어떻게 작동하는가는 선거 제도의 본질<br />

에 달려 있다―의사 결정 제도가 중요한 다른 사례이다. 최다 득표<br />

자 선출 제도는 이해관계가 있는 개인들이나 집단들이 자기들의 의<br />

견 차이를 버리고 지배 정당들 중 하나에 가담하거나 소수파 정당<br />

들이 자기들의 의견 차이를 버리고 잠재적으로 집권당에 도전할 만<br />

큼 큰 동맹을 창설하는 선거 전 연합을 낳는 일이 흔하다. 혹은, 그<br />

들은 자기들의 협정 상대방이 승리할 가능성이 더 높은 지역에 후<br />

보를 내는 것을 거부하면서 단지 기술적인 투표 기회를 이용할 선<br />

거 협정을 맺을 뿐일지도 모른다.<br />

그러나 비례 대표 제도와 다당제 정치가 지배적인 유럽 대륙과<br />

기타 입법부들에서는 연합은 선거 후에 입법부에서 형성될 가능성<br />

이 더 높다. 일단 선거 개표 결과가 들어오고 상이한 정당들의 득표<br />

력이 명백해지면, 정당 관리자들은 과반수를 형성하기 위해서 얼<br />

마나 많이 표를 같이 모을 필요가 있는지 알게 되고 어느 동맹 상대<br />

들이 기대에 가장 잘 부응할지에 관해 정보에 입각한 판단을 내릴<br />

수 있다.<br />

윌리엄 H. 라이커는 많은 상이한 정당들이나 이익 집단들을 포용<br />

하는 ‘대연합’이 왜 단명인 경향이 있는지와 같은 연합의 많은 특징<br />

78 <strong>공공선택론</strong> <strong>입문</strong>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