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2.2013 View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공공선택론 입문 -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제 때문에 과소 공급될지 모른다.<br />

(Rational ignorance)<br />

개개 표는 선거 결과를 바꿀 것 같지 않고 설사 바꾸는 경우에도 채택되는<br />

정책은 불확실한 효과를 가질 것이므로 유권자들이 정당들과 정책들에 관<br />

해 많이 아느라 시간과 노력을 쓸 가치가 없다는 앤서니 다운스의 관점.<br />

(Rational maximizing)<br />

개인들은 자기들의 개인적인 만족을 극대화하려 하고 그 목적을 달성하기<br />

위해 의도적으로 행동한다는 경제학의 중심 가정. 이것은 사람들이 탐욕<br />

스럽다거나 자기중심적이라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들의 개인적인 만<br />

족은 부분적으로 친구, 가족 혹은 더 넓은 공중과 같은 다른 사람들의 생<br />

활을 개선하는 데서 생길지도 모른다.<br />

(Rent seeking)<br />

이익을 주는 정치적 결정은 특정 집단들에게 아주 큰 보상을 전할 수 있어<br />

서 이익 집단들이 그것을 얻기 위해 로비하는 데 많은 양의 시간, 돈 그리<br />

고 노력을 쓸 가치가 있다는 고든 털럭의 견해.<br />

(Rochester School)<br />

윌리엄 H. 라이커에 의해 개척된 <strong>공공선택론</strong>의 한 분파로, 정치적 의사 결정<br />

의 연구에 통계 분석, 게임 이론 그리고 실험 경제학의 기법들을 도입한다.<br />

162 <strong>공공선택론</strong> <strong>입문</strong>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