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4.2014 Views

체제 혹은 귀환을 위한 행정지 침 - World Evangelical Alliance

체제 혹은 귀환을 위한 행정지 침 - World Evangelical Alliance

체제 혹은 귀환을 위한 행정지 침 - World Evangelical Alliance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654 선교사 멤버케어<br />

제34장 선교사들의 건강한 출발과 건강의 유지 655<br />

1) 새로운 환경<br />

새로운 환경에의 적응은 스트레스를 가져온다. 종종 문화적응 과정에서<br />

초기 단계로 여겨지는 이 개념 문화충격은 오버그(Oberg, 1960)에 의해 처<br />

음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끝에 도달하기 까지 몇 년의 과정이 필요<br />

한 변화 과정의 첫 단계에 지나지 않는다. 선교사들은 그들의 여정을 단일<br />

문화적 존재로서 시작하고, 대게는 순응되어진 이중 문화적 사람들로 변화<br />

되어 여정을 마친다. 오버그는 이를 네 단계로 규정한다. 첫 몇 주간의 새로<br />

운 나라에 대한 흥분은, 두 번째 단계에서 적대감과 공격으로 향하게 되며,<br />

유머 감각이 다시 살아나는 동안 부분적 수용의 세 번째 단계가 뒤 따른다.<br />

마지막 단계에서 이주자들은 그 나라의 관습들을 삶의 또 다른 양식으로 즐<br />

겁게 받아들이며 불안감 없이 그들의 새로운 세계를 움직이게 된다. 애들러<br />

(Adler, 1975)는 이를 문화적응 접촉(cultural adaptation contact), 해소<br />

(dis-integration), 재통합(re-integration), 그리고 자율성(autonomy)의<br />

단계들로 칭했다. 히버트(Hibert, 1985)는 그의 저서 선교와 문화인류학<br />

(Anthropological Insights for Missionaries-죠이출판사 역간-역자주)<br />

에서 그 단계들을 여행자(tourist), 각성(disenchantment), 해소<br />

(resolution), 적응(adjustment)으로 묘사한다.<br />

타문화로 이주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어쨌든지 변화는 예측할 수 없는 것<br />

들이다. 대부분의 선교사들이 자원했기에 변화를 극복하려는 강한 동기가<br />

있다. 그러나 어떤 가족들에게 새로운 문화로의 이주는 원치 않은 것일 수<br />

있다. 확고한 자기 정체감과 개인의 선택을 희망하는 가족들의 경우, 그들이<br />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지 않았다면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이것은<br />

이주를 원치 않는 청소년 자녀들과 순종하는 자세로 부모나 배우자를 따르<br />

려는 가족들의 경우에 더욱 그러하다. 자원하지 않은, 그리고 예상치 못한<br />

이 모든 이주는 스트레스를 가중시킨다(Hopson & Adams, 1976).<br />

사별의 요소 역시 문제가 된다(Bowlby, 1984; Huntingdon, 1984;<br />

Parkes, 1972). 오랫동안 모국을 떠나 있는 일은 개인의 상황과 동기에 따라<br />

다양한 상실의 정도를 필연적으로 내포하게 된다. 깊은 상실 가운데 사별의<br />

역작용이 뒤따를 것이며, 새로운 환경에서 살아가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다.<br />

문화 적응의 기본적인 스트레스를 넘어, 거기에는 만성적으로 쌓인 스트<br />

레스가 존재하며, 안타깝게도 너무나 빈번히, 피할 수 없는 극심한 충격들이<br />

존재한다(De Haan, 1997; Foyle, Beer, & Watson, 1998). 선교인력들에<br />

대한 한 연구에 따르면, 인터뷰에 응답한 17%의 사람들이 스트레스의 역작<br />

용으로 인해 고통을 겪고 있었다(Foyle, 1991). 스트레스 역작용의 정도는<br />

가벼운 피로와 일을 향한 열정의 상실로부터 심각한 탈진, 개인적 갈등정도<br />

의 마찰의 급상승, 자살을 생각하는 주요 우울장애와 불안 증상에 까지 이른<br />

다(Richardson, 1992).<br />

스트레스 노출이 높고 돌파구가 적은 지역에서 사역하는 사람들은 현지<br />

인들에게 곧 비효율적인 조력자가 되고 만다. 국제적십자협회(ICRC)에서<br />

사역한 이후 귀국한 1,300명에 대한 조사에서, 10%가 스트레스 역작용으로<br />

고통을 겪는 것으로 진단되었다.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집단 출처의 기초(자<br />

국 환경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초기 문화충격, 문화적응, 만성적 스트레스 요<br />

인들을 포함하여)로 규명되었다. 스트레스의 절반은 누적(사소하게 여겨지<br />

는 외상 충격들에 대한 장기적 노출로 밝혀진)된 것이었고, 17%는 충격(갑<br />

작스럽고 예측하지 못한 그리고 우발적인 정신적 충격 사건들로 밝혀진)으<br />

로 인한 것이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는 일반적이지 않았지만<br />

7%로 나타났다(De Haan, 1977). 선교사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이러한<br />

스트레스 요인들에 대한 적지 않은 빈도는, 현명한 단체만이 정신적 탄력성<br />

을 소유한 자들을 선발할 것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것은 강한 마음을 소<br />

유하는 문제가 아니라, 부딪치는 변화에 대응하여 전략을 재고하는 융통성<br />

을 소유하는가의 문제이다.<br />

3. 후보자 선발<br />

해외사역 중 문제를 일으킬 만한 요소들은 선교사 지망 후보생들의 인터<br />

뷰 중에 어느 정도 확인될 수 있다. 그것은 결과에 결정적 영향을 주는 단순<br />

한 스트레스요인의 노출 수위뿐만 아니라 개인의 상처도 드러낸다<br />

(Harrison, 1991). 긍정적인 측면에서, 호웨스와 킬리(Howes & Kealey,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