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12.2012 Views

해운산업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선박 S&P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해운산업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선박 S&P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해운산업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선박 S&P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110 <strong>해운산업</strong> <strong>신성장동력</strong> <strong>확보를</strong> <strong>위한</strong> <strong>선박</strong> S&P <strong>비즈니스</strong> <strong>활성화</strong> <strong>방안</strong> <strong>연구</strong><br />

<strong>해운산업</strong>이 자연 발생적으로 성장하였지만, 정부 주도의 효과적인 정책<br />

(intelligent design)으로 해운 관련 산업 육성과 발전 방향이 구체화되고 있다.<br />

2025년까지 글로벌 해운지식 중심지(global maritime knowledge hub)의 구축을<br />

목표로 해운 및 관련 R&D 산업을 종합적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53) 또한 해운<br />

클러스터 펀드(Maritime Cluster Fund: MCF)를 2002년에 8,000억 싱가포르달러<br />

규모로 조성하여, 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클러스터 구축을 통해 전통적인 해<br />

운, 법률, <strong>선박</strong>금융, 교육, 보험, 중개 등의 <strong>해운산업</strong> 경쟁력을 제고할 계획이<br />

다. 아시아의 석유거래중심지(오일허브)로 <strong>선박</strong>연료 급유(bunkering)가격 경<br />

쟁력 및 서비스 수준이 매우 높으며, 선용품공급업, 수리조선업 등의 해운부<br />

대사업이 싱가포르 해운클러스터를 뒷받침하고 있다.<br />

이와 같이 지리적 특성, 항만 및 공항의 효율성과 신뢰성, 고도로 발달<br />

한 해운 네트워크 및 연결성(connectivity) 등을 바탕으로 세계 물류 중심지<br />

로서의 위상을 구축한 싱가포르는 오랜 시간 역사적으로 동남아시아의 무<br />

역항으로 성장하여 역사적 유산(heritage) 바탕 위에 <strong>해운산업</strong>화를 선도하고<br />

있다.<br />

2) <strong>선박</strong> S&P <strong>비즈니스</strong> 규모와 동향<br />

싱가포르는 정책적으로 <strong>해운산업</strong>을 육성시키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을<br />

기울여 왔다. 이는 싱가포르가 위치한 지리적인 이점을 최대한 이용한 것<br />

으로, 컨테이너선의 경우 환적항으로서의 역할을 중요시하고 있다. 조그마<br />

한 도시 국가이기 때문에 자국의 해운시장 참여자만으로는 성장의 한계가<br />

있음을 일찍이 깨달아 외국 기업유치를 위해 언제나 노력하고 있다. 무엇<br />

보다 정책의 일관성과 친환경적인 기업정책으로 지금은 세계적인 해운산<br />

53) 싱가포르 정부는 해운<strong>연구</strong>개발 자문기구(Maritime Research and Development Advisory<br />

Panel: MRDAP)를 2007년에 설립하여 운영 중이다.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