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12.2012 Views

해운산업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선박 S&P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해운산업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선박 S&P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해운산업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선박 S&P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제3장 세계 <strong>선박</strong> S&P 및 관련 시장 동향과 특성 69<br />

표 3-14 세계 10대 VLCC 항해용선 정유사<br />

구분 2010년 2009년<br />

Unipec<br />

IOC<br />

PetroChina<br />

Reliance<br />

Vela<br />

Day Harvest<br />

Shell<br />

CPC<br />

S Oil<br />

Hyundai<br />

296<br />

118<br />

101<br />

89<br />

70<br />

70<br />

61<br />

58<br />

56<br />

55<br />

183<br />

110<br />

105<br />

71<br />

27<br />

74<br />

80<br />

43<br />

46<br />

50<br />

합계 974 789<br />

세계 전체 1,847 1,567<br />

비율(%) 52% 49%<br />

자료: Tanker Prospects 2011~2015, Poten & Partners, 2011. 2<br />

(2) 풍부한 금융조달능력으로 신조<strong>선박</strong> 선호<br />

한편 일반적으로 정유사는 유전 개발, 시추, 저장 및 수송을 위해 10년<br />

이상의 장기 프로젝트를 통해 <strong>선박</strong>의 수요를 예측하기 때문에 신조발주를<br />

통해 <strong>선박</strong>을 확보한다. 그리고 필요 시 중단기적으로 기간용선이나 스팟용<br />

선을 통해 <strong>선박</strong>을 확보한다. 이에 반해 유조선 선사들은 시장 지배력을 높<br />

이기 위해 선령이 낮은 <strong>선박</strong>을 중심으로 S&P 방식을 자주 이용하는 편이다.<br />

현재 유조선 시장은 공급 과잉 상태로 2011년 유조선 총 인도예정량은<br />

4,170만 DWT이며, 작년 인도량 3,920만 DWT 대비 16% 증가가 예상된다.<br />

2011년 VLCC <strong>선박</strong>량은 전년(164.4백만 DWT) 대비 6.07% 증가한 174.4백만<br />

DWT, 특히 2011년 VLCC 인도예정량은 1,930만 DWT로 2011년 인도 예정<br />

총 유조선 <strong>선박</strong>량의 46%를 차지할 전망이다. 2011년 석유 제품선 <strong>선박</strong>량은<br />

64.8백만 DWT로 전년(61.7백만 DWT) 대비 5.05% 증가했다.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