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12.2012 Views

해운산업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선박 S&P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해운산업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선박 S&P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해운산업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선박 S&P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2) 컨테이너선 시장 수급 변화와 <strong>선박</strong>투자전략 6)<br />

제1장 서 론 11<br />

“컨테이너선 시장 수급 변화와 <strong>선박</strong>투자전략” <strong>연구</strong>는 컨테이너선의 시<br />

황 변화 추세를 분석하여 향후 시황을 예측하고 적절한 투자전략을 제시하<br />

는 데 <strong>연구</strong>의 목적이 있다. <strong>연구</strong>방법은 주로 통계자료 분석, 선행<strong>연구</strong> 분석<br />

등이 주로 활용되었다. 컨테이너선 용선시황 변화 추세, 시황 변화와 <strong>선박</strong><br />

투자 관계, 선복수급과 시황 변동, 투자전략에 대한 시사점 등을 제안했다.<br />

컨테이너선 시장은 공급과잉에 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strong>선박</strong>투자에 신<br />

중한 접근이 요구되고 선사들은 <strong>선박</strong>투자 시기 선택에 있어 오류를 범하는<br />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컨테이너선의 신조발주는 용선료가 높고<br />

중고선가도 비교적 높은 호황기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으며, 신조 인도(취<br />

항)는 선복수급이 악화된 시기에 이루어짐으로써 선사의 수익성 확보에 큰<br />

도움은 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br />

(3) 우리나라 <strong>해운산업</strong>의 <strong>신성장동력</strong> 확보<strong>방안</strong> <strong>연구</strong> 7)<br />

“우리나라 <strong>해운산업</strong>의 <strong>신성장동력</strong> 확보<strong>방안</strong> <strong>연구</strong>”는 우리나라의 해운<br />

의 기초를 튼튼히 하면서 지속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성장엔진을 발<br />

굴하는 데 <strong>연구</strong>목적이 있다. 이 <strong>연구</strong>에서는 문헌조사, 면담, 전문가 세미나,<br />

워크숍, 토론, 런던 등 해외출장조사 및 세미나 참석 등 정성적 방법이 연<br />

구방법으로 활용되었다. 이러한 <strong>연구</strong>방법 등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해운산<br />

업의 성장엔진을 진단하여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써 <strong>선박</strong>금융, 해운중개, 선<br />

박관리, 녹색해운 등을 성장엔진으로 활용하는 <strong>방안</strong>을 제시했다. 나아가 이<br />

<strong>연구</strong>에서는 내항선사의 근해 틈새시장 진출, 남북한 간 해상운송 참여 확<br />

대, 크루즈사업 <strong>활성화</strong>, 외항선사의 해외자원개발운송 참여 <strong>활성화</strong>, 개도국<br />

6) 정봉민, “컨테이너선 시장 수급 변화와 <strong>선박</strong>투자전략”, 「KMI 해양수산 현안분석」, KMI, 2008.<br />

7) 임종관 외, 「우리나라 <strong>해운산업</strong>의 <strong>신성장동력</strong> 확보<strong>방안</strong> <strong>연구</strong>」, KMI, 2009.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