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12.2012 Views

해운산업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선박 S&P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해운산업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선박 S&P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해운산업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선박 S&P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66 <strong>해운산업</strong> <strong>신성장동력</strong> <strong>확보를</strong> <strong>위한</strong> <strong>선박</strong> S&P <strong>비즈니스</strong> <strong>활성화</strong> <strong>방안</strong> <strong>연구</strong><br />

로젝트는 나용선(bareboat) 및 장기기간용선(long-term time charter)을 중심으<br />

로 이루어진다. 2003년부터 2006년까지 해운호황기에 KS 프로젝트 펀드가<br />

급격히 늘어났다. KS펀드는 대부분 노르웨이 4대 펀드 운용사인 Fearnley<br />

Finans, Pareto Private Equity, Ness, Risan & Partner(NRP), R. S. Platou Finans<br />

등에 의해 운용된다. 41) 한편 독일 KG와 마찬가지로 노르웨이 KS는 해외<br />

선사가 <strong>선박</strong>을 확보하고자 할 경우 노르웨이의 <strong>선박</strong>관리회사에 <strong>선박</strong>의 관<br />

리를 위탁해야 한다.<br />

한편 금융위기 이후 해운불황기에 일부 KS 펀드 프로젝트는 운임 및<br />

용선료 하락 등으로 투자선가 대비 수익 악화로 인해 큰 손실이 발생하였<br />

다. 2010년 이후 노르웨이 경제성장률이 회복세로 진입하면서 에너지 산업<br />

및 관련 해운기업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며 해양구조물(Floating Production<br />

Storage Offloading: FPSO) 분야 등이 주목받고 있다.<br />

3) 유조선 S&P<br />

(1) 대형선사와 메이저 정유회사가 시장 주도<br />

원유 및 석유제품 등을 수송하는 유조선 시장은 초대형 정유사들의 이<br />

중선체 유조선에 대한 선호 경향이 보편화되면서 이중선체 <strong>선박</strong>을 보유하<br />

고 있는 대형 선주들을 중심으로 단일선체 유조선과의 심한 운임 격차를<br />

나타내는 등 지배력이 강화되어 유조선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또한 대형<br />

정유사들은 장기용선 및 사선 <strong>확보를</strong> 통하여 지배선단을 확대하여 시장지<br />

배력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세계 최대 정<br />

유사인 ExxonMobil 이나 BP의 경우, 자사선 운항 확대를 위해 <strong>선박</strong>을 지속<br />

적으로 발주하고 있다. 특히 BP는 자체 화물 50% 이상을 자사선에 의한 수<br />

41) 총 자산가치는 30~40억 달러로 추정된다(2007년 기준).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