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12.2012 Views

해운산업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선박 S&P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해운산업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선박 S&P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해운산업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선박 S&P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구분<br />

신조<br />

선가<br />

지수<br />

제3장 세계 <strong>선박</strong> S&P 및 관련 시장 동향과 특성 73<br />

표 3-16 신조선가 대비 국가별 신조 발주척수 현황<br />

발주액 발주척수<br />

단위: 십억달러, 척<br />

전세계 전세계 독일 그리스 일본 중국 한국<br />

2005 161.7 110 2,931 484 154 466 118 111<br />

2006 168.1 159 3,989 513 386 405 173 146<br />

2007 183.9 270 5,298 668 655 421 392 253<br />

2008 176.5 180 3,148 368 260 330 271 141<br />

2009 137.7 40 1,200 39 68 91 234 43<br />

2010 142.4 100 2,236 76 289 107 450 90<br />

CAGR<br />

('05~'10)<br />

CAGR<br />

('05~'07)<br />

-2.5% -1.9% -5.3% -30.9% 13.4% -25.5% 30.7% -4.1%<br />

6.6% 56.7% 34.4% 17.5% 106.2% -5.0% 82.3% 51.0%<br />

자료: www.clarksons.net(2011.7.), Clarkson(2009, 2011)<br />

국가별 신조선 발주량 동향을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신조선가가 비싼<br />

2005~2007년 우리나라와 중국, 그리스는 연평균 각각 51.0%, 82.3%, 106.2%<br />

발주척수를 증가시켰다. 이는 독일, 일본 등의 투자형태와 상이하다.<br />

이러한 고선가에 대량의 <strong>선박</strong>을 구매하는 발주형태는 경제위기 시점에<br />

운임하락에 의한 수익률 악화 및 높은 <strong>선박</strong> 부채비율로 인하여 저가에 선<br />

박을 매각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투자형태는 해운기업의 손실을 발생시키<br />

는 등 우리나라 <strong>해운산업</strong>의 전체적인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br />

(2) 해운운임대비 국가별 발주규모 특징<br />

① 해운운임대비 국가별 발주규모 현황<br />

해운시장은 호황과 불황이 반복되는 시장이며, 발주와 인도사이에 시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