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12.2012 Views

해운산업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선박 S&P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해운산업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선박 S&P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해운산업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선박 S&P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제3장 세계 <strong>선박</strong> S&P 및 관련 시장 동향과 특성 75<br />

연 및 노후선 해체 등 선사들의 <strong>선박</strong>감축 노력과 함께 계선율 증가와 감속<br />

운항 등으로 인하여 컨테이너 시장에서의 <strong>선박</strong> 공급과잉 수준을 완화시켰<br />

다. 이와 달리 벌크선은 호황기(2003~2007년) 수주물량이 본격적으로 인도<br />

되어 2009년 이래 선복량 과잉현상이 발생하고 있고, 2011년 가을 기준 선<br />

복량 대비 발주잔량 비율이 53.0%로 다른 선종에 비해 큰 편이어서 선복과<br />

잉 현상은 상당 시간 지속될 전망이다.<br />

<strong>선박</strong>공급<br />

과잉수준<br />

(2011년<br />

10월 말<br />

기준)<br />

구분<br />

물동량<br />

증가율(A)<br />

선복량 대비 발주잔량<br />

비율(2011년 가을 기준)<br />

표 3-17 전 세계 선종별 수급 현황<br />

벌크선 컨테이너선 탱커선<br />

단위: %, %p<br />

2009 2010 2011 2009 2010 2011 2009 2010 2011<br />

-5.2 12.2 6.4 -9.0 12.6 8.8 -4.0 4.3 2.8<br />

선복량<br />

증가율(B)<br />

6.6 9.9 16.9 11.5 4.8 8.7 5.5 7.0 4.1<br />

B-A(%p) 11.7 -2.3 10.5 20.6 -7.8 -0.1 9.5 2.7 1.3<br />

53.0 25.2 26.9<br />

자료: www.clarksons.net(2011년 10월 말 기준); Clarkson Research Service, Autumn 2011<br />

그런데 우리나라는 해운호황기에 업체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는데 대<br />

부분 자금력이 약한 중소 벌크선사 43)였다. 그 이유는 정기선은 정기적인<br />

운항으로 막대한 자본과 비용이 투입되므로 신규 참여하는 중소선사가 이<br />

시장에 뛰어들기는 힘들기 때문에 주로 상대적으로 시장진입이 용이한 벌<br />

크선 시장에 진출했다. 이로 인하여 2010년 기준 우리나라 외항화물 선사<br />

43) 해운호황시기인 2003년에서 2009년 외항해운업체 수는 44개사에서 170개사로 연평균<br />

25.3% 증가했음. 2010년 말 기준 외항해운업체 수는 169개사로 호황기에 비해 축소되었음.<br />

2010년 말 기준 상위 10개사의 선복량(20,029천 GT)이 전체 선복량(27,840천 GT)의 71.9%<br />

를 차지하는 등 그 외 업체는 28.1%에 불과함(자료: 한국선주협회, 「2011 해사통계집」).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